Skip to main content

책이 작자에게

: 작자의 지은이에 관한 단상

 

그때 나는 한 살이었다
그때도 나는 奇蹟이었다
계속 판올림 하며 ○○년의 새해에도 나는.
//이작자

 

휴일의 한낮을 포터블 씨디 플레이어와 함께 보내었다. 마음먹은 김에 비좁은 하드디스크에 겨우 씨디 한장 복사할 공간을 만들어 ‘Samba da Bencao’을 녹음한 것이다. 그리고 작자의 지은이(^^)와 더불어 한참을 감상했다.

지은이는 그 가운데서도 ‘Lungomare’나 ‘Summertime’의 기타 연주, 체 게바라를 기리는 노래와 잉쎈싸떼쥐의 젠틀한 목소리, ‘봉 지아 뜨리쉬떼자'(마치 ‘백치 아다다’처럼 비장미 넘치는 이 노래는 가요무대에 나와도 될 것 같다) 등을 특히 좋아하셨다. 그리고 그 멋진 곡들 중에서도 ‘쌈바 다 벤쏭’의 가치를 알아봤으니 이작자가 도리어 감격하였다. 아무래도 그 노래에 남다른 멋과 품위가 있다고 한다.

작자의 지은이 ㅡ 작자 스스로야 늘 부끄럽고 한심하기 짝이 없는 하찮은 인간일 뿐이지만 그 저작권의 반을 갖고 있는 지은이께서는 늘 그 점에 관해서 당당하시다. 나머지 절반의 저작권자보다는 틀림없이 한참 좋은 점수일 것이다. 하찮은 작자이지만 그 당당함을 증명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간절히 바란다. 오늘은 더욱 그런 심정이 된다.

이작자라는 이름의 옆편소설(?)이 세상에 나온지 어언 XX년, 여전히 하찮은 소설이지만 그것은 작자 자신이 개작에 게을렀던 탓, 원작은 늘 훌륭한 것이었다. 절반의 지은이는 책을 찍고서 또 얼마나 기뻐했는지 그 사연은 때로 이작자를 부끄럽게 한다.

제 1권 발행일(누님의 생일^^)을 깜빡 넘겨버려 뒤늦게 케일 라이브 씨디를 카피하며, 그리고 이작자라는 작자의 초판 발행일(?)을 앞두고 작자의 공동집필자 가운데 한 사람에 관해 잠시 생각하였다.

부디 책이 값어치 있는 것이 되고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뿐이지만 꼭 그렇지 않아도 작자의 지은이에게는 값어치가 있는 것이다. 정상적인 작자(이작자 아님^^)라면 세상 모든 이가 그러할 것이다. 침해될 수 없는 작자에 관한 저작권, 저작권이여 영원히!

 

제 3권의 스토리를 말하지 않되 언제나 함께 기억하며
책이 작자에게, 이작자가 저작자에게

오늘의 머리까지도 지은이의 손을 빌려 깎은 작자 쓰다.

 

/2003. 7. 27.

 

+
사진 : Old Mister.y Book vol. 2 & 3
+
사진 뒷편의 병풍도 ‘지은이’의 작품이다. 어쩌면 아직도 시골집에 남아 있을 듯.
국민학교 중학교 시절까지 그 병풍의 뒷면을 제사때 사용했던 기억이 난다.
어버이 살아실제 섬기기 다하여라… 그런 시조들이 세로로 인쇄되어 있었던.

 

Don’t you hear my call, though you’re many years away
Don’t you hear me calling you? (39 / Queen)

무치

데.호따.무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