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태양 속의 한 시절, 크리스티나

유튜브에서 영화 <Way Back>을 다시 보았다. 2010년 무렵의 작품, 출연진은 훌륭했지만 영화는 그리 인상적이지 않았다. 그럼에도 나는 이 영화를 잊지 못한다. 내가 결코 잊을 수 없는 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내가 고3이던 시절, 어떤 막연한 죄의식과 번민으로 수험생으로서의 모든 것을 포기해버리고 교과서나 참고서가 아닌 ‘책’만 읽던 때였다. 당시에 처음으로 손에 닿았던 책, <1984년>을 읽고서는 망상에 가까울 만큼 몰입되었었다. 마치 메쏘드 연기에 빠진 배우인양, 윈스턴 스미스의 눈으로 세상을 보았다. 그때 다음으로 읽었던 것은 <제 3의 사나이>와 <동물농장>이었고 그리고 우연히 내 눈에 들어온 책이 <길은 멀어도>였다.”A Gamble for Life, as Told by Ronald Downing”이란 작은 글씨와 함께 슬라보미르 라위츠라는 저자의 이름이 있던 책이었다.

분명히 기억하지만 내가 중학교 2학년이었던 시절에도 누구의 관심도 받지 못한 채 집을 뒹굴고 있었던 책이었다. 왜냐면 그 당시 우리집에 하숙하며 내게 수학을 가르치기도 했던 대학생이 책을 다 읽고선 ‘명작같다’고 했던 것을 생각했기 때문이다. 길게 평을 하진 않았지만 나는 그가 상당히 감동받았던 것을 기억하고 있었고 집에 읽을 만한 책이 그리 많지는 않았기에 입시공부에서 아예 손을 떼었던 내 손이 거기 닿은 것이다.

길은 멀어도…… 책을 펼친 이후에는 단숨에 읽지 않을 수 없었다. 좀 상투적이지만 꽤 드라마틱한 스토리에 자유를 향한 의지와 갈망, 그리고 결말부의 짙은 허무감은 내 마음을 사로잡았고 깊은 인상을 남겼다. 대학생 형의 말처럼 ‘명작같은’ 이야기였다. 게다가 실화라는 사실이 더한 무게감을 주었다.

 

Slavomir Rawicz 이미지 검색결과

 

그리고 크리스티나는 이 넌픽션에 나오는 여자의 이름이다. 주인공 일행이 시베리아의 수용소를 탈출해서 바이칼호를 지날 무렵 만났던 소녀. 동유럽인 일곱명과 미국인 한사람으로 이루어진 탈출자들과 러시아 소녀가 일행이 되어 라사, 인도를 향해 간다. 다들 그녀를 지켜주려 애를 썼고 마르친꼬바스가 그녀와 특히 가까웠다. 오늘 영문판을 찾아 확인한 그녀의 이름은 크리스티나 폴란스카. 비틀즈 어느 노래 가사처럼 열일곱살이었다.

하지만 그들은 아무런 준비없이 고비사막을 지나면서 큰 시련을 겪는다. 그곳에서 크리스티나는 결국 목숨을 잃는다. 나중에는 마르친꼬바스 또한. 결국 네 사람은 그 길에서 죽음을 맞고, 나머지 네 사람은 인도에 도착했다. 이별의 순간이 담긴 짧은 마지막까지가 강렬한 허무감과 함께 내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 책은 십수년 전에 <얼어붙은 눈물>이란 ‘번안 제목’으로 재출간되기도 했고 <Way Back>이란 제목의 영화로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영화는 원작과는 꽤 다른 부분들이 많았고 재출간된 책 또한 그리 마음에 들지는 않았다. 그래서 나는 이 모든 사연을 여전히 <길은 멀어도>로 기억한다.

이 책에 대해 여러 번 글을 썼지만, 시간이 갈수록 ‘넌픽션’이라는 말엔 더 큰 의구심이 생겼다.
미국의 스파이로 오인받았다는 ‘스미스’라는 의문의 존재를 생각해도 그렇고, 포로수용소의 소장 부인이 탈출을 돕기 위해 가방을 만들어주고 음식까지 제공해준다는 것도 쉽게 믿어지지는 않는다. 무엇보다도 라위츠의 동료들, 세상을 떠난 사람들의 친척이나 지인들 가운데 그 누구도 존재를 드러낸 사람이 없다는 점은 더 강한 의심을 갖게 한다. 이 책이 발간되고 한참 동안까지는 공산국가 출신들이어서 그랬다고 해도(라위츠는 런던에 살았다) 소련 연방 해체 이후에는 정보가 어느 정도 개방된 상태였기에 당사자나 그의 주변 인물들이 나타날 수 있었음에도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던 것이다. 미스터 스미스 뿐만 아니라, 그와 긴 여정을 함께 했던 자로, 콜레메노스까지도.

 

Slavomir Rawicz 이미지 검색결과

(시베리아서 인도까지의 사선은 그들이 탈출 후 걸어서 지나간 길이다.)

 

하지만 나는 이 모든 것이 가짜였다고 하더라도 허구 속에서 어떤 절실함과 진실을 느낄 수 있기에 적어도 그 책을 읽던 나는 그랬었기에 치명적인 문제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라위츠의 거짓은 라위츠의 거짓이고 나의 느낌은 나의 것이라 믿기에.

<길은 멀어도>의 수많은 장면들 가운데 가장 아팠던 대목 하나가 바로 고비 사막에서 그녀가 끝내 버티지 못하고 쓰러지는 장면이었다. 그리고 나는 오래도록 그 모습에서 누군가를 그리고 상상하기도 했다. 테리 잭스가 “Christina”에서 노래했듯이, 강물처럼 흘러가 되돌아올 수 없는 이름. 그의 노래가 더욱 아프게 들리는 것도 그런 까닭에서다. 그리고 먼 사막 어딘가에서 모래 속으로  사라진 또 다른 이름을 생각했다. 사막이라는 혹독한 미로 속에서 속절없이 쓰러진 그녀에게서 나는 틀림없이 누군가를 그려내곤 했었다.

라위츠의 미심쩍은 넌픽션이나 테리 잭스의 감정적 노출이 과도한 노래나 그리 대단한 무엇은 아닐지도 모른다. 하지만 내 기억 속에서 그런 ‘수준’ 따위는 아무래도 상관은 없다. 그저 안타깝고 그리운 사연이 내 안에 담겨 있을 뿐이다.
라사의 회전예배기(마니차)와 소박하고 인정 넘치는 몽골과 티벳의 풍경들,
사막 한가운데 버려진 깡통들, 오래전 일행의 흔적처럼 녹슬어가던 사연들,
그리고 끝없이 돌아가는 기도처럼, 바다가 딸기밭으로 바뀌던 꿈처럼, 끝내 이루어지지 못한 것들……

녹지 않는 얼음인양
빛나는 이름
흐릿한 불길 건너다
광막한 미로 속
결정으로 남은 이름,

태양 속의 영원한 한 시절
크리스티나 폴란스카를 기억하며.

 

2015~2025. 10. 무치.

 

I had a dream about you, Christine
I dreamt that flowers growing sideways so green
And butterflies covered all of your head
And an angel slept beside your bed……
/Christina, Terry Jacks

무치

데.호따.무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