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도 기원전 1508~1458년 사이, 18왕조의 다섯번째 파라오 하트셉수트 여왕 시대 아스완에서는 거대한 오벨리스크 제작이 시도되고 있었다. 오벨리스크는 작은 창, 꼬챙이라는 뜻을 지닌 그리스어 오벨리스코스에서 온 것으로 이집트 사람들은 테크헤누라 불렀다고 한다. 만약 그것이 완성되었더라면 대략 높이 42미터, 무게는 1200여톤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단 하나의 철벽 같은 바위, 또는 단 하나의 바늘. 바닥을 제외한 대부분이 떼내어져 가던 어느 메마르고도 위태로왔던 날, 바위에는 치명적인 균열이 발생했고 결국 제작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틀림없이 최고의 오벨리스크가 될 수 있었던 바윗덩이는 허무한 꿈의 증거인양 3,500여년을 꼼짝없이 그 자리에 누워 있었다. 오늘날 사람들은 세워지지 못한 오벨리스크를 방문하며 저마다 사진을 찍고 감탄을 한다. 어떤 사람들은 이집트의 석공 같은 집요함으로 이 거대한 파멸을 헤집어내고 또 바라본다. 때로 만들어지지 못한 무엇인가가 그대로 역사가 되고 작품이 되고 꿈이 되기도 하는 법이다. 하지만 멀쩡히 서 있어도 눈길 하나 가지 않는 세상의 숱한 풍경들, 쓰러지지도 빛나지도 못한 어느 하찮은 꿈이 깊고 유구한 균열을 잠시 들여다 보았다.
/2020. 11. 13.


![]()
시적 역언(詩的 逆言), 또는 반대로 말하기
: Z라고 썼지만, 실은 A라고도 생각하는 Z의 이야기
아스완의 채석장에 가본 적은 없다. 다큐멘터리에서, 책에서, 사진에서 봤을 뿐이다. 기원전 1500년경, 일군의 노동자들이 거대한 화강암 덩어리에서 오벨리스크를 뜯어내고 있었다. 42미터 높이, 1200톤. 만약 완성되었다면 세계 최대의 오벨리스크가 될 뻔했다. 하지만 중심부 어딘가에서 균열이 생겼고, 작업은 중단되었다. 그렇게 3,500년이 흘렀다.
균열. 그것은 실패의 증거였지만 동시에 돌이킬 수 없는 미완의 영속이었다. 완성된 오벨리스크들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감추지만, 이 쓰러진 형해는 모든 과정을 드러낸다. 쌓아 올린 것이 아니라 거대한 바위에서 불필요한 것들을 제거하며 ‘뜯어낸’ 것이었다. 시를 쓰는 것도 비슷한 무엇이다 싶었다.
잠시라고 썼지만 사실은 오래였다. 얄팍하다고 했지만 투명하다는 뜻이었고, 하찮다고 했지만 소박하다는 의미였다. 시적 역언(詩的逆言, poetic reversal)—진실을 말하기 위해 정반대로 말하는 것. 과소표현도 반어도 아닌, 반대편에서 진실을 발견하는 일. 쓰러진 오벨리스크는 관광명소가 되었지만 이름 없는 실패들은 누구도 찾지 않는다. 그 차이가 그렇게 명확한지는 가늠하기 쉽지 않다. 세워진 것들은 약탈되고 무너졌다. 쓰러진 것은 쓰러진 그대로 남았다.
나는 일정 부분 희망에 무게를 두고 썼다. 반대로 말했지만, 그 진술의 역전 속에 일말의 진실이 숨어 있었다.
Good article
wow, what is ?
martabak enak
semoga kita termasuk orang yang beruntung
시적 역언 (Poetic Reversal)의 작동 원리 :
역설적 동일진술 (Paradoxical Co-asser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