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für "elysee"

1999년 아니면 2000년 쯤 만년필 하나 선물 받았다. ‘건필 기원’의 뜻을 담은 메모와 함께. 중학교 들어갈 때 만년필이라는 것을 처음 받아봤고 18세 쯤에는 어딘가 강제로 참석했던 자리에서 ‘아피스’ 만년필 같은 것 하나 얻었던가 모르겠다. 그 이후론 처음이었다.
꽤 오랜 기간 메일도 주고 받았고 그 사람이 근무하는 곳이 집과 가까웠기에 (이작자 여인숙에도 그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여전히) 몇 번 만나기도 했지만 그렇다고 그 이상으로 가까운 사이는 아니었다. 그리고 언제부터인가는 전혀 연락도 되질 않는다. 사람도 잊었고 만년필도 잊은 채 그것을 받은 때로부터 거의 17년 쯤의 시간이 흘렀나 보다.
지금도 달리 아는 것이 많지야 않지만 그땐 이 만년필에 대해서 아는 것이 전혀 없었다. 그저 감사히 받았을 뿐이다. 하지만 이미 컴퓨터에서 글쓰는데 너무 익숙해져 있던 내가 그걸 실제로 사용한 적은 거의 없었던 것 같다. 그런데 몇해 전 잇달아 두 자루의 펠리칸 만년필을 구입하고서야 새삼스레 서랍 속에 묻혀 있던 펜을 다시 꺼내 써봤고, 올해 다시 찾아봤다. 자세히 살펴본 만년필은 독일 제품으로 elysee란 회사의 것이었다.
elysee 만년필에 대한 일반적인 평은 80년대 스타일의 가늘고 긴 바디에 부드러운 닙을 갖고 있다고 했고 가느다란 모양새와는 대조되는 m 규격의 닙에 대한 내 느낌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elysee는 사실은 für elise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것 같고 불어에서 élysée는 대통령 관저인 엘리제궁(‘낙원’의 의미)에 해당한다고 나올 뿐이다. 만년필을 만든 회사는 2000년대 초반 즈음에 생산을 중단하였고 그것을 선물해준 사람은 이제 기억 저편에 있다. 하지만 만년필은 여전히 내 손안에 있다.
17년 전의 기원은 일찌감치 효력을 상실했을지 모르지만 만년필은 여전히 새것인양 반짝거리고 있다. 그래서 나는 거기 내 나름의 의미를 부여하며 물건은 때로 사람보다 오래 간다던 어떤 이의 씁쓸한 지적을 슬쩍 잊은 척 하곤 한다. 하지만 <유년기의 끝>에서 홀로 남겨진 ‘최후의 인간’처럼 그 만년필이 지금까지 내게 남아 있다는 것만으로도 스스로 무엇인가를 ‘責책’하게 하거나 ‘勵려’하게 하곤 한다. 그것이 어떤 결과를 만들어낸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elysee 만년필을 바라보는 심정은 그런 것이다.
 
/2017. 7. 10.
 
+
발음이 비슷해서일까. 그런데 이 만년필 메이커 이름을 보면
자꾸 톰 제의 어떤 노래 생각이 난다.

그리고 너는

아득히 까마득히 알고도 몰랐고 알았지만 몰랐다
마당의 연못엔 알지 못할 구멍 뚫려 있었으나
위태로운 세계에 뿌리를 내린 채 연꽃 하나 피었다 졌다
蓮이 있기는 있었는지 바쁠 일도 아닌 것에 허둥대며
한번 돌아보지도 못하고 나는 떠나왔다
다시 찾아오니 꽃은 사라지고 그 자리엔 연밥이 걸려 있었다
거기서 전화기를 그렸던 너는 말을 건네었고 나는 귀를 기울였다
소식 기다렸던 나비는 누군가의 귀처럼 연밥에 날아들었고
소리 대신 향이 울렸다
마음의 짐이라도 널어야 할 옷걸이가 숨은 그림처럼
여기저기 감춰져 있었으나
거기 어떤 緣이 있기는 있었는지
작은 꽃봉우리 하나 또 올라왔는데 나는 바삐 떠나왔다
그리고 그리고 그리던
마당의 연못엔 알지 못할 구멍 뚫려 있었으나 너는

 

 

/2017. 7. 9.

 

 

지금도 그가 시를 쓰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모두가 그리던 신춘문예의 꿈, 메이저신문에 평론 당선으로 멋진 출발을 했던 그는 글쓰는 이에게 흔치 않은 숱한 풍파를 겪기도 했으나 변함없는 붙임성에 타고난 수완으로 다른 일을 하면서 여전히 잘 나가고 있다고 들었지요. 지금은 어떤 모습일지 잘 그려지지 않지만 그가 지금 시를 읽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또다른 한 친구는 인물도 참 멋졌습니다. 첫만남에서부터 내가 어설프게만 보였던 그 친구, 이상하게도 뒤늦게 내게 과분한 관심을 보였었지요. 나는 주제넘는 무신경으로 그를 대했지만요. 그는 오래도록 시를 썼지만 나는 그의 시에 관해 잘 알지는 못하지요. 나는 가끔 그가 전공을 살려 평론이나 미학 같은 분야로 나갔더라면 어땠을까 생각하긴 했지만요. 이제는 고향이 자신의 마당이 되었는데 그의 얼굴에서 읽히는 괴로움이 무엇인지 나는 잘 알 수 없습니다. 프로필을 보니 몇해 전에도 시집을 내었다고 나와 있긴 하지만 그가 지금도 시를 쓰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중학교 다닐 적 백일장에서 내가 동시 같은 글로 차상을 받았을 때 바다에 관한 시를 쓰서 장원했던 친구, 그 친구랑도 그럭저럭 잘 지냈는데 너무 어려서였던지 시 이야기를 한 기억은 정말 없네요. 그에게 시는 묻혀버린 추억일지 아니면 눈으로 속으로 여전한 시를 쓰고 있는지는 알 수 없지요.

대학교 시절 시 쓰는 써클에서 만났던 선배, 낮술 먹고 학교 앞 벤치에서 <명태>를 부르던 시절이 생각나네요. 비슷한 시기에 활자화된 시로 다시 만났던 가난했던 그 선배, 언젠가는 전세 문제로 걱정을 해서 돈을 좀 빌려드렸었지요. 이후로 명절마다 부산 내려오면 한번씩 얼굴 보곤 했는데 조금씩이라도 갚아주면 안될까 하고 조심스레 말을 걸었더니 그 이후로 연락이 끊어졌네요. 다른 사정이 있었더라도 괜찮았을텐데 말입니다. 언젠가 누군가랑 결혼했다는 풍문도 듣긴 했지만 그 선배, 지금도 외로운 밤을 마른 명태처럼 곱씹고 있을지요.

나로 말하자면 이것저것 하릴없이 끄적이기는 했지요. 초등학교 때의 동시부터 이야기하자면 햇수가 부끄러울 정도이건만 나날이 쓰기는 어렵고 의욕도 없지요. 실없는 상념에 의미없는 글자들을 너무 쏟아버린 듯, 이제는 아끼고 또 아낀다고 하지만 감춰둔 비단주머니 속에 남겨둔 사연은 아무 것도 없지요. 오죽하면 이하 생각하며 스완송 같은 시를 쓰기까지 했을까요. 지금도 매일 생각하고 끄적이긴 하지요. 하지만 나는 그가 시를 쓰고 있는지 정말 정말 알 수가 없습니다. 그의 눈동자 속에 그 어떤 시도 보이지 않기 때문일지도 모르겠어요. 그의 눈동자가 반짝이며 보여줄 시가 없기 때문일 것도 같아요. 어쩌면 시를 쓰지 않는 당신이 그 잘난 누구보다도 더 많은 시를 쓰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에요.

 

/2017. 6. 27.

네이버는 접었다

  • 네이버 뉴스에 사용자가 보기 싫은 댓글이 올라올 경우 이를 접어서 안 볼 수 있게 하는 기능이 추가됐다. 여러 사용자가 접기요청을 하면 현재 댓글에서는 아예 자동접힘으로 처리된다…….. (중략)
  • 가장 많은 변화가 이뤄진 부분은 댓글접기요청이 추가됐다는 점이다. 그동안 악성댓글이나 광고성 댓글의 경우 사용자들이 신고 버튼을 통해서만 자신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시간이 걸렸다.
  • 댓글접기요청은 사용자가 직접 보기 싫은 댓글을 자신이 보고 있는 댓글창에서 바로 접어서 안 볼 수 있게 하는 기능이다. 다수 사용자가 접기요청한 댓글은 누적 요청 건수에 따라 자동으로 접힘 처리된다…….. (중략)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취임 당시 기술플랫폼으로 진화를 선언하며 “기술플랫폼의 근간은 사용자 신뢰와 투명성 확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작년에 사내 투명성 위원회를 신설하고, 내외부 의견을 수렴해 자사 서비스에 반영해나가는 중이다.

네이버 유봉석 미디어서포트 리더는 “이번 개편을 시작으로 뉴스 댓글창이 더욱 활발하고 건전한 공론장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투명성을 제고해나갈 것”이라며 “하반기 중 댓글 작성국가, 작성 기기에 따른 댓글 작성 분포, 연령별/성별 댓글 소비 분포 등도 그래프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m.zdnet.co.kr/news_view.asp?article_id=20170623103603&lo=zm3#imadnews

 
포털이 가진 과도한 권력에 대해 비판적인 사람으로서 조금 충격적인 뉴스였다.  가장 큰 문제는 ‘접기요청’이란 것인데 간단히 말하자면 특정한 댓글에 적정한 사람들의 요청이 있으면 그 댓글을 블라인드 처리해버린다는 것이다. 위의 기사 인용은 ‘접기요청’이 실제로 이루어진 뉴스를 보고서 찾은 기사다.

문제는, 예를 들어 어떤 댓글에 대해 찬성이 5000이고 반대가 50이라도 ‘접기요청’이 일정수준 발생한다면(당연히 찬성의 수준을 넘을 수는 없다!) 그 댓글을 블라인드 처리해버린다는 것이다. 다수의 찬성 의견이 그보다 작은 소수의 의견에 의해 뭉개져버리는 것이다.

실제로 ‘접기요청’이 어떤 기사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더욱 그렇다. ‘펼침요청’이라는 건 ‘기계적 균등’일 뿐, 뉴스가 지니는 시간적 중대성으로 본다면 뒤늦은 블라인드 해제는 전혀 의미가 없다. ‘접기’를 실행시키는 ‘여러 사용자’의 조건과 로직이 어떻게 되는지는 설명도 없다. 다만 추정할 수 있는 것은 일정 수준의 ‘부대’만 있다면 일정부분 특정 여론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이 기발한(?) 방법은 아마도 추후에 그다지 민주적이지 못하면서 인터넷이 급속도로 보급된 국가들에서 상당한 인기를 얻게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그리고 네이버는 이러한 시스템이 ‘투명성 확보’라고 이야기 한다. 그렇다면 네이버가 원하는 투명성이란 것이 극소수의 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순도 1백퍼센트’를 지향하는 것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일종의 패러다임 교체 같은 것, 언론사의 특정 인물들을 대신하여 포털/소셜미디어 관련 전문가들이 권력의 핵심으로 가는 시대이기에 이러한 시스템은 더욱 위험한 결정이다. 이런 시스템이 계속 유지될 수 있을지도 회의적이고, 계속 엉터리 논리를 고집하며 간다 한들 의도대로만 되지는 않으리라 생각하지만 우려스럽다.

(전적으로 살펴본 것은 아니지만 내가 확인한 유일한 비판기사는 단 하나였다. 헤럴드경제.)

 

+
태그에 관련된 인물의 이름을 넣은 것은 앞으로도 계속 살펴보기 위함이다.

ascenseur pour

가끔씩 생각나는 한줄들, 어떤 때는 잇사가 위로가 된다. 바쇼에 비해 질곡의 삶을 살았건만, 그래서 가끔 꺾이기도 했지만 그는 오직 그것을 견뎌내며 한줄을 쓰는 것으로 일관했었나 보다. 잇사를 생각하면 하찮은 내 인생의 괴로움이라는 것은 참 아무 것도 아닌 것일지도 모르겠다. 작년 1월 어느 날의 소감을 뒤돌아보며./2017. 6. 15.

 

월요일부터 얼어붙었던 수돗물은 금요일 사무실 나오니 풀려 있었다.
목요일 퇴근 전에 물 두어통이랑 생수병 몇 개
이웃집에서 갖고 올 때는 그것이 하루를 버텨줄 요긴한 필수품이었는데
수도꼭지에서 물이 나오는 것을 알게 된 바로 순간
“맹물보다도 못한” 하찮은 무엇이 되어버렸다.
나도 누군가에 또 내가 누군가에도 그랬을지 모른다.

 

세상을 사는 것은
거듭 겨울비를
긋는 것//소기

 

늦은 출근 ㅡ 사무실 오는 길에 한참 멀리 위쪽에서 폐지 줍는 할아버지가 보였다.
수레 뒤로 차가 따라오는데 귀 어두우셔서 잘 모르는가 싶었다.
마침내 경적을 울리고 우여곡절 끝에 차는 피해갔고
나는 눈짓 손짓으로 2층으로 모시고 커피 한잔 같이 마셨다.
한달여 모아둔 폐지와 사무실에서 쓰려고 뒀으나 잘 입지 않는겨울옷 두 벌 드렸고
수레를 다시 움직일 수 있도록 조금 끌어드리고 올라왔다.
그 잠깐 동안은 최근의 우울을 잊고 있었나 보다.

 

둥근 집이야말로
사각 집보다 좋아라
한겨울 칩거//사와 로센

 

힘들어서였을지 아니면 초탈해서였을지 아니면 어떤 달관이었을지 모르겠다.
아무튼 지은이의 의도와는 조금 다른 방향으로, 요즘의 내 느낌도 비슷하다.
이렇게 완곡하게 썼으니까 내 뜻대로 마음대로 고쳐서 생각하기도 좋다.
하지만 고바야시 잇사를 생각하면 괴로움에 대해서는 말하기 쉽지 않다.

그는 전혀 초월적인 인간은 아니었다.
세파에 부대끼고 그 속에서 숱한 고초와 아픔을 겪었으나
남달리 험난했던 삶에 완벽하게 굴복한 적은 없었는가 싶다.

 

여윈 개구리
지지마라 잇사가
여기에 있다//잇사

 

모르긴 해도, 또 그가 호감을 주는 사람은 아니었다고 해도
지금까지의 느낌으로는 잇사에 제일 마음이 갔다.
(그것이 그를 좋아하는 직접적인 이유는 아니지만)
사연이 담긴 그의 몇몇 글에서는 감정을 추스르기 쉽지 않았다.
개구리 하이쿠처럼 아이들에 관한 것은 특히나 그랬다.
월요일에서 토요일까지 책 두 권을 읽으면서 70여 페이지로 요약을 했다.
피난처였다.

 

다만 있으면
이대로 있을 뿐
눈은 내리고//잇사

 

 

+
잔느 모로, 또는 어떤 이가
비슷하니 길을 걸을 때
트럼펫 소리가……

 

/2016. 1. 30. 21:49.

 

 


ascenseur pour l’echafaud / miles davis

 

 

九點煙구점연에 갇히어

누군가? 나의 서러운 한 권의 시집을
소중히 읽어 벌레 먹지 않게 할 이.
/이하

 

휴관을 앞둔 도서관에 책을 반납해야 할 마감일이다. 삼국유사를 편역한 두 책은 끝까지 다 읽지 못했음에도 그다지 미련도 아쉬움도 없지만 이하 시집을 돌려보내려니 좀 허전하였다.

그래서 눈에 들어오는대로 몇 페이지 카피를 하다 그것도 마땅찮아 찾아봤더니 구할 수 있는 책이라 바로 주문을 했다. 역자의 번역이 아주 시적이란 생각은 들지 않지만 완역본인 만큼 두고두고 보고 싶었기에 그랬다.

미리 써버린 내 ‘스완 송’의 소재가 되었던 “백옥루”+에 관한 이야기는 <태평광기>에 이하가 말한 것으로 나와 있고, 당나라 시인 이상은의 기록 <이장길 소전>에도 기술되어 있는데 그의 글에는 이하를 하늘나라(?)로 데려갈 저승사자가 했던 말로 나와 있다. 하지만 그 모두가 일종의 ‘전해오는 이야기’임에 본질은 이하의 말에 다를 바 없는 것 같다.

옛 현암사판의 번역으로 <夢天몽천>을 다시 한번 돌아본다. 이 땅을 한눈으로 내려다 볼 수단이 전혀 없던 시대에도 남다른 안목과 불허의 상상력은 그 모두를 뛰어넘었나 보다.  나는 이 하루도 ‘九點煙구점연’에 갇힌 채 까마득히 잊고 있으니 그가 夢天에서 봤던 것은 통찰이고, 나의 현실은 夢天인지도 모를 일이다.

 

달 속의 늙은 토끼와 한기 느낀 두꺼비가 우는 듯한 하늘 빛
구름누각 반쯤 열리자 벽 사이로 비스듬히 내비치는 새하얀 달빛
옥 바퀴 이슬에 구르자 물기를 머금은 듯 달빛은 몽롱해지고
계수나무 꽃향기 피어나는 길에서 선녀를 만난다.
삼신산 아래 인간 세상을 바라보니 누런 먼지와 맑은 물뿐
변화를 거듭하는 천년 세월도 달리는 말처럼 한순간이다.
아득히 바라보이는 중국 땅은 아홉 점 먼지
넓은 바다도 쏟아 낸 한잔의 물에 불과한 것을.

/꿈속에 하늘에 올라, 이원섭 역.

老兎寒蟾泣天色 (노토한섬읍천색)
雲樓半開壁斜白 (운루반개벽사백)
玉輪軋露濕團光 (옥륜알로습단광)
鸞佩相逢桂香陌 (난패상봉계향맥)
黃塵淸水三山下 (황진청수삼산하)
更變千年如走馬 (갱변천년여주마)
遙望齊州九點煙 (요망제주구점연)
一泓海水杯中瀉 (일홍해수배중사)

 

 

/2017. 6. 13.

+상제께서 (시인, 묵객들이 머물) 백옥루를 짓게 되어 상량문을 써라고 한다.

 

 

travelling song, 그리고 flora

“오미 와이즈”를 처음 들었을 때부터 버트 잰쉬의 목소리를 무척 좋아했었다.
대단한 노래 솜씨를 지닌 사람은 아닐지 모르지만
“pentangle” 하면 나는 투박하면서도 묵직한 그의 목소리를 먼저 떠올리곤 한다.
그리고 “travelling song”은 라이브가 10배쯤 더 멋진 것 같다.
장미빛 뺨과 루비 같은 입술을 지녔다던 플로라,
질투와 배신감으로 플로라의 애인을 단검으로 죽이고
살인죄로 법정에 선 이로서도 그의 음성은 꽤 인상적이었다.
“꽃순이를 아시나요, 꽃처럼 어여쁜 꽃순이…”의 영탄뿐인 화자에 비해
플로라를 짝사랑했던 심히 무모했던 인생의 목소리로도.
하지만 더 어리석고 무모한 인생은 travelling song의 주인공처럼
꿈꾸던 집(또는 ‘제일’하우스)을 향해 달리지 못하고
플로라의 애인이 아닌 플로라를 죽인다.

i don’t mind the drizzling rain
inside it is warm and dry……
그 느낌 잃어버릴까 점점이 잊혀져갈까 두려워하며. /srs.

 

골짝 어귀에서

푸른 치마 아가씨 목화 따러 나왔다가
길손과 마주치자 길가로 돌아섰네
흰둥인 누렁이의 뒤를 따라 달리더니
주인아씨 앞으로 짝지어 돌아오네+

 

知音에게 알리기도 쉽지 않은 일 ㅡ 빠를 젠 빠르고 높고도 낮게, 나이 이제 열아홉인데 벌써 비파 잡고 다룰 줄 안다며+ 신광수의 넉 줄은 태연스레 그윽하였습니다. 원문을 읽으면 그 노골적인 글자들을 말로 옮기지도 못할 정도였지만요. 峽口所見이라는 짧은 만남에 관한 단상에도 그런 느낌 없지 않아 제목마저 조금 달리 보이는 것이 남의 일 같지 않았습니다. while my guitar gentley weeps ㅡ 비파 다루는 것 알지 못한 채 골짝 어귀에 서 있는 남자를 떠올려 봅니다. 주인아씨 앞에서 뛰놀던 백구 황구를 바라보던 개같지 않은 인생이 지사도 열사도 상열지사도 아닌 개같은 내 인생인지는 알 길이 없고, 撐天의 그렇고 그런 시절도 이젠 아닌 듯 싶지만요. 기세등등 어디로 갔는지 기타등등일 뿐이지만요, 등등.

 

+峽口所見, 정민 역.
+신광수의 시 배열을 뒤섞고 내용을 조금 바꿨음.

 

/2017. 5. 22.

꽤 오래된 시론

그저께 빌려왔던 책, 사흘 동안 안고 산 것은 아니지만 머리 속에선 내내 그랬다. 처음 펼쳤을 때는 모처럼 읽을거리 많은 책을 만난 것 같아 좀 들떴나 보다. 저자, 또는 편역자에 대한 느낌은 아주 조금 달라졌지만 배울 것이 많은 책이어서 그저 감지덕지일 따름이다.  그분의 지지자는 아닐지 몰라도 다른 책들도 빠짐없이 읽고 싶어질만큼. 서두에 있던 박지원의 인용부터가 인상적이었다. 해설까지 마음에 쏙 든 것은 아니어서 나는 좀 더 단순하게 생각한다. 그리고 그 생각은 오직 나만의 것은 결코 아니다. 누구나 부지불식간에 책을 읽고 시를 읽고 심지어 쓰기까지 한다는 것, 그 자신이 알지 못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리라 나는 생각한다 ㅡ 그것을 문자로 한정하지만 않는다면. 그런 의미에서 연암의 글을 시인의 자세에 관한 것이라고 말할 필요는 없다. 나는 다만 그 짧은 글이 시라고 생각하고 읽었을 뿐이다. 내재율조차도 찾을 길 없다 한들 굳이 산문시라고 말할 필요도 없다. 그 어떤 ‘律’도 그 어떤 ‘룰’도 알지 못하지만 나는 그가 쓴 시를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