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델리아에게 전하는 인사

델리아 엘레나 산 마르꼬, 보르헤스

 

 

바람도 선선한 가을날입니다. 늘 다니던 길에서 새로운 가게 하나를 발견한 것처럼 늘 보던 화단에서 언제부터 있었는지도 모를 나무 하나를 유심히 바라보는 것처럼 그렇게 델리아를 보았습니다.
새로운 것이 아니어서 새로운 느낌, 오래도록 여기저기 뒤적여 왔으나 너무 짧은 글이어서 그냥 무심하게 넘어갔던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거리를 헤매이면서도 그녀를 보지 못했다면 그것은 얼마나 안타까운 일이었을지요.

내 기억 속에도 그런 장면이 있습니다. 어디쯤에서 헤어졌는지 또한 잘 알고 있습니다. 마치 나 자신이 모든 시간을 관통하는 듯 Flashback의 느낌을 갖곤 합니다. 그의 짧은 이야기 속에 나오는 11번가의 모퉁이는 아니더라도 누구에게나 그런 아스라한 순간이 남아 있겠지요.
하지만 그렇게 말하고 나면 잘 안다는 것은 무엇인지, 기억하고 있다는 것은 무엇인지 내 마음의 잔상은 흔들리며 흐릿해지곤 합니다. 죽음이 지닌 감당키 힘든 위력 가운데 하나 ㅡ 그가  말한 ‘거짓 기억’ 같은 것이지요. 그러나 상이 흔들리는 것일 뿐, 그것은 그 글자의 본래적 의미처럼 이미지가 아닌 것이어서 변치 않고 남아 있는  무엇이 있습니다. 아마 그가 붙들고자 하였던 델리아의 본질도 분명 그러하였을 것입니다.
그가 <울리카>에서 화자의 입을 빌어 말한 것처럼 인간에게 영원이란 허용되지 않는 것인지도  모르겠으나 그는 짧은 글을 통해 델리아 엘레나 산 마르꼬를 내 빈약한 가슴속에 깊이 깊이 각인시켰습니다.

지구 저 반대편에서 수십년 전에 존재했던 어떤 사람에 대해 알고 있다는 것, 그리고 그의 사연에 전도되어 11번가의 모퉁이를 바라보는 이 느낌을 어찌 다 말할 수 있을지요. 하나같이 너무 구차한 사족인 것만 같아 두 페이지에 불과한 델리아의 이야기를 내 마음의 카메라에 수없이 담고 또 담아봅니다.
Some sunny day… 어딘지 언제인지 알지 못하지만 다시 만나리라던 비러 린의 노래가 꼭 그러하였습니다. 한 사람의 꿈은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는 기억의 한 부분+ ㅡ 나도 더불어 비러 린에게, 스탠리 큐브릭에게, 보르헤스에게, 그리고 델리아에게 안부를 전합니다. 그는 “작별인사를 나누는 것은 이별을 부정하는 일”이라고 하였습니다. 인사가 없어도 분명 그랬을테지요.

 

델리아, 언젠가 우리는 다시 서로 이어지게 되리라.
어느 강가에서?
이 불확정적인 말,
우리는 한때 우리가 평원 속에 묻혀 있는 한 도시 속에서
정말로 보르헤스와 델리아였는지 자문해 보게 되리라.
ㅡ JLB.

 

 

+마르띤 삐에로.

 

 

/2003. 9. 26.

라면은 보글보글

門을 암만 잡아다녀도 안 열리는 것은
안에 生活이 모자라는 까닭이다
― 家庭, 이상

 

말하자면 그렇습니다 가정家庭은 꾸리지 못하고 가정假定으로 일가를 이루었습니다 기꺼이 꿈을 꾸라면, 더딘 이 밤 함께라면…… 하는 오붓하고 화기애애한 가정이지요 화기엄금의 썰렁하고도 위태로운 밤이지요 즐거운 곳에서는 날 오라 하여도 어느 작자 말과는 달리 절로 발길 닿는 곳, 문 잡아당기면 잘도 열리어 그 안에 가정이 충만하였습니다 꾸벅꾸벅 내 안에 넘쳐납니다 더러는 보셨는지 아시는지요 IF라면, 세상에서 제일 맛없는 라면의 상표입니다 지겹도록 우려먹던 정겨운 라면의 이름입니다 라면은 보글보글, 낮은 소리로 끓고 있습니다 짙은 라면 냄새가 허기를 재촉하며 요동치는 밤입니다 기다리는 동안 안경엔 뽀얗게 김이 서렸습니다 이왕 내친 김인지 안경 벗어도 똑같이 뽀얗습니다 허기진 마음인지 부족한 마음엔지 내 그릇이 조금만 컸더라면 싶었습니다 힘들면 힘든 대로 그리우면 그리운 대로 열심히 면발을 뽑아봅니다 고르고 골라가며 마음 다잡아 봅니다 라면은 보글보글, 맛있게 끓고 있습니다 ― 같이 드실래요? 정말 배가 고픕니다 라면은 보글보글, 운이 너무 잘 따르는 나의 그리운 포에티카입니다

 

/2002. 9. 19.

봄밤

너 대신 짧은 봄밤
새로 핀 꽃구경도 즐거웠다만
건너편 집 처녀
다소곳이 설거지하는 모습도 참 예쁘다
전해지려나
이 방을 흐르는 노래 그곳까지 들릴까
나 대신 짧은 봄비
마음아 너는 어디까지 가려나
얼마만큼 쌓이어서 한 줄 닿으려나
너 대신 짧은 봄꿈
양지 바른 곳에 누워 노랠 따라 불렀더라
구름에 햇살 오가다 어느 하루 잠들었는데
자장가 부르던 이만 잠 못 이루네

 

/2002. 3. 18.

 

 

+
“얼마만큼 쌓이어서 한 줄 닿으려나”에서 “인들”을 뺐다.
“한 줄인들”이 더 운이 맞지만 한 줄이나 천 줄이나 닿는 것은 다름이 없고
한 줄이면 족하기에 “인들”은 그 절박함을 부박하게 만든다 싶었다.

/2017. 2. 15.

누구… 시온지……

누구시온지 초면에 실례가 많았습니다. 비루한 행색으로 아 이런, 오 저런 시답잖은 생각만 읊어대었습니다. 밤낮없이 낯 뜨거운 일이었어요. 시집은 어떤가요 장가도 못갔는데, 시시각각 독수공방 시나 읊어볼까요. 책 하나 만든다면 정말 좋겠는데 어디 더 보태어 책 잡힐 일 있나요. 누구 책 망할 일 있나요. 시시콜콜 웃을 일이 아닌데 그냥 웃고 말아야 겠어요. 당신도 이쯤에서 웃어주시고.

시샘도 가물 가물, 가물어서 이토록인가. 적당히 폼잡고 고개 끄덕이며 시인은 아무나 하나.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는다는데 풍류는 고사하고 시류도 모르오니 정말이지 시인 못할 노릇이라는 건 시인해야 하겠군요. 아무렴, 그래야지요. 시인도 아니 되고 부인도 없다는데 천번 만번 꾸벅꾸벅 인가받기 힘든 빌어먹을 시인일랑 밤새도록 계속해야 하겠어요.

잘못한 것 많아서 시인합니다.
온갖 부끄러운 일로 모두 시인합니다.
죄스런 일 많다한들 깡그리 빠짐없이 시인합니다.
밝지도 편안하지도 즐겁지도 않았음에 시인합니다.
무조건 시인합니다.
그리움에 펼쳐보고 잘잘못에 새겨가던
저의 책임에 시인합니다.
어디선가 본 듯한 당신
속속들이 알 것만 같은 당신
대체 누구시온지, 누구의 시온지 부끄럽사오나
오늘의 험한 꼴을 박대 마소서.
이 남루 훨훨 털고
성장 차려 다시 뵐 날 기약합니다.

 

 

 

/2002. 3. 12.

이빠니마

무슨 잘못 있었을까
태양이 구릿빛으로 타오를 때
오가던 눈빛일랑은 모랫벌만큼이나 길기도 했네
젊은 살결이 태양을 빛나게 할 때
나직한 한숨 소리 속절없이 모래알로 흩어지기도 했네
깜빡깜빡 눈길 속에 길이라도 있던지
깨알같은 사연으로 쏟아지던 이빠니마
어딘 줄도 모른 채 걸어보던 이빠니마
바람이 쓸어가고 파도가 훔쳤는데
비가 씻어내고 또 내가 지웠는데
모랫벌 발길로 가득할 날 기약하며
몰래 몰래 걷던 길
휘파람 불다 보면 한숨도 되고
안개도 되고

 

라 마하 데스누다

열세 살 백과사전의 한 페이지 귀퉁이에 마야가 누워 있습니다. 어느 어린 봄날의 시험시간, 책상 사이로 길게 늘어선 그림자를 바라보다 아득해진 삶처럼 너무 작고 흐린 그림이 몹시도 안타까웠습니다. 태초의 숲에서 율리시즈의 고행까지 누구의 연인인들 어땠을까요. 옛 그리스의 꿈인양 비만이 풍만으로 보이던 환상, 얇은 그 옷을 뚫어져라 쳐다보았습니다. 라 마하 베스띠다, 지도와 영토 사이 흐릿한 한 지점을 하염없이 꿈꾸었습니다. 마야의 침대 위에 홀로 누웠습니다. 더 잃을 것도 없는 허망을 찾아 내가 간지럽힌 것은, 나를 그리 한 것은 어느 여인의 옆구리였을까요. 고야의 방을 채우던 검은 그림 너머 헐벗은 마음으론 분별치 못할 황홀한 나의 마야입니다.

 

 

2001. 9. 26.

 

+라 마하 데스누다 / 라 마하 베스띠다, 고야.
제목을 한글 발음으로 바꾸었고, 조금 고쳤다.  외래어 표기가 제대로 되지 않았던 시절에 봤던 ‘그책’의 이름대로, 그리고 ‘幻’이라는 의미로 그녀의 이름을 마야라고 썼다. 인용이라고 하기엔 조금 애매하지만, 영토와 지도에 관한 생각은 카프라의 책에서 읽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마야란 지도를 영토로 착각하는 것이라고.

 

65년의 새해

그때 너는 한살이었다
그때도 너는 奇蹟이었다*

 

65년의 새해라는 김수영의 시처럼 나는 기적이었다. 하지만 삼팔육은 내 고물창고에도 없다. 의사당과 방송국과 시민단체와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삼팔육은 테라바이트의 비밀을 숨기고 산다. 사과탄 만큼이나 매캐한 눈물을 흘리고 사과탄보다 더 뽀얀 연기를 피운다. 삼팔육은 내 고물창고에도 없다. 내 보물창고에도 없다. 대공분실에도 지하벙커에도 이상한 이름의 공사들에도 대자보로 도배된 학생회관에도 없다. 이제 돌아가는 것은 징징대는 팬 뿐이기에 나는 삼팔육이 아니다. 00년을 맞이하여 공공연하게 빵빵하게 살아가는 몇 안되는 사람들만이 슈퍼 컴퓨터를 돌리며 어거지 삼팔육을 상기시킨다. 그 몇몇만이 삼십대 팔십학번 육십년대생의 이름을 가진 대표단수이다. 아주 많은 피가 아닌 약간의 피는 보상받을 수도 있기에, 작은 희생이 훈장일 수도 있기에 세상은 어느 정도 핏빛을 띠고 있을 뿐이다. 내가 A시대를 살았고 B유파에 속하며 C주의에 심취했다면 그건 별다른 뜻도 없는 것, 내가 X세대 흉내를 내었고, Y족처럼 지냈으며, Z너레이션이 되고자 했다면 모든 철자는 언제든 무엇이든 등식이 되는 공허한 방정식인 법이다. 시대의 중심에는 삼팔육명만 살지 않았고 피 마저 나이를 찾는 절호시절, 삼팔육명이 중심으로 살아 남았다. 대표단수는 단수를 올려가며 힘차게 희망차게 살아가고 있다. 그리하여 때는 바야흐로 65년의 새해,

 

그때 나는 한 살이었다
그때도 나는 奇蹟이었다
계속 판올림 하며 00년의 새해에도 나는.

 

 

2000. 6. 15.
*65년의 새해, 김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