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안케세나멘의 꽃

ㅡ 詩 쁘띠 플로르+에 부쳐

 

황금과 보물들 사이,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나온 세 개의 꽃다발 사진을 보았다. 아주 오래전, 하워드 카터의 인상적인 언급을 읽은 이래 늘 마음 속에 남아있었던 바로 그 꽃들일 것이다. 그 가운데 둘은 다발이 꽤 풍성한데다 묶은 모양이나 재료 또한 뭔지 모르게 전문적인 솜씨인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내 마음을 움직일 것은 없었는데 나머지 하나는 좀 달랐다. 꽃다발의 모양새며 매듭을 보며 무엇인가 느낄 수 있었다. 어떤 자료에서는 이집트에서 수레국화가 겨울에 핀다고 했고 또 다른 글에서는 꽃들의 종류로 볼 때 그가 사망한 계절이 여름이라는 언급도 보았다. 세 개의 꽃다발엔 여러 종류의 꽃이 있었고, 마음 가던 꽃다발의 꽃이 수레국화는 아닐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

 

 

무엇보다도 이들 꽃다발 가운데 하나가 소년왕의 두 살 많은 비(妃) 안케세나멘이 남긴 것이라는 어떤 증거도 없다. 하지만 그건 아무래도 괜찮다. 목과 가슴을 장식한 꽃이나 두 꽃다발의 매듭에서는(미학적인 호불호를 떠나) 전문가의 손길이 느껴진다.(발굴 당시 사진들을 자세히 살펴보니 이들 사진 가운데 두번째 꽃다발은 그것이 발굴 때부터 그랬는지는 알 수 없지만 투탕카멘의 입상 곁에 세워져 있었다.) 그런데 세번째 꽃다발은 앞의 둘과는 분명히 달랐고 그 어떤 특별한 것도 없이 오히려 갸냘프고 초라했다. 그래서 나는 그것을 안케세나멘이 마지막으로 바친 이별의 꽃이라 상상하는데 조금도 주저하지 않았다.

 

투탕카멘 의자의 등받이 부조. 안케세나멘이 파라오의 몸에 향유를 발라주고 있다.

 

투탕카멘의 유물들을 모두 다 살펴본 카터의 소감이 그러했듯, 나도 그리고 상상할 뿐이다. 파라오의 ‘카(ka)’가 무탈하게 천국을 향한들 창졸간에 돌이킬 수 없이 떠나버린 그녀의 절대적이고도 하나뿐인 ‘메루트‘ ㅡ 거기서 나는 안케세나멘의 슬픔과 아픔, 그리고 아이와 장군 호렘헤브의 위세에 둘러싸인 그녀의 운명을 보았다 생각한다.  3,300년 전의 꽃다발에서.

 

 

+안케세나멘은 투탕카멘 사후 재상 또는 신관으로 알려져 있고 그녀의 외할아버지일  가능성도 있는 아이와 결혼해야 할 상황이 되었다. 고심끝에 그녀는 히타이트 왕에게 편지를 보내서 그의 아들을 남편으로 맞이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 하지만 왕자는 이집트로 오는 도중에 사망하였고/살해당했고 아이는 안케세나멘과의 결혼을 통해 파라오가 되었다. 아이는 4년 가량 이집트를 통치했으나 결국 군사령관이었던 호렘헤브가 파라오의 지위에 올랐다.(쿠데타였다는 설이 우세하다.) 아이와의 결혼을 끝으로 안케세나멘에 대한 기록은 더이상 보이지 않으며 호렘헤브는 아케나텐, 스멘크카레, 투탕카멘, 아이에 이르는 파라오의 기념물과 이름들을 역사에서 지우고자 하였다. 하지만 그들 4대에 대한 기록이 대부분 훼손되었음에도 안케세나멘이 히타이트로 보낸 서신이 남아 있는 것을 보면 편지가 그녀에 대한 약점 잡기 또는 축출을 위한 함정일 수 있으리란 생각도 든다. (하지만 일각의 투탕카멘 살해설 가운데는 그녀가 독살했다는 주장도 있다.) 영화 <미이라>에 등장한 이름 아낙수나문 또한 안케세나멘의 다른 표기다.(조세르 시대의 위대한 건축가이자 재상이며, 훗날 신으로까지 모셔졌던 이모텝이 악당의 이름으로 나오는 것도 비슷한 사레다.)

 

+petite fleur를 링크했다. 또 다른 18왕조 이집트와 대성당을 소재로 한 짧은 시는 개인적인 이유로 공개하지 않았다./2021. 12. 21.
메루트의 상형에 살을 붙인 시는 여기서 읽을 수 있다.

petite fleur

피어난 적이나 있었을까
스산한 사막의 겨울
황금과 보물들 사이
수레국화 꽃다발 하나
빛 바랜 채 남았네
그녀+의 운명이 되어버린
가녀린 매듭 몇바퀴
운철로 만들었다는
어린 왕의 여전히 빛나는 단검보다도
안타깝게 아프게

 

 

/2020. 9. 4.

 

 

 

+안케세나멘.

베개 둘 베개 하나

두동달이베개는 어디 갔는고+ 틀리기 쉬운 맞춤법 ― 베개를 배고 칼은 벤다 베개 하나 있으면 뭔지 모르게 허전하다 베개 둘에 하나는 머리에 배고 하나는 곁에 두거나 가끔 끌어안는다 책 볼 때는 책도 세워두고 폰을 켜면 폰도 그렇게 둔다 아침이면 베개 하나 어디로 달아났는지 잘 모른다 누군가는 자객처럼 베개 아래에 칼을 품은 채다 자칫하면 어긋나버리는 맞춤법 ― 바드득 이를 갈고 죽어볼까요+ 위징의 꿈처럼+ 베개 하나 배고 누운 밤 누군가의 꿈은 틀림없이 거기 베인다

 

+김소월
+황제와 장기를 두던 위징이 잠시 조는 사이 용의 목을 베는 꿈을 꾸자 하늘에서 용의 머리가 떨어졌다.

 

/2020. 8. 30.

noon burned gold into our hair

8월 하고도 24일, 여름도 이제 거의 끝자락이고 우리들 셋의 생일도 모두 지나갔다. 늦은 밤과 새벽의 공기는 전에 없던 차가운 기운도 느껴진다.

핑크 플로이드도 그렇지만 언제부터인가 도어즈 노래도 그렇게 자주 듣진 않는다. 마음 속에서 지워진 것은 아닌데 감정적인 겨를(?)이 없다고나 할까. 서글픈 일이지만 이제는 내 나이가 그들 음악의 나이를 한참 뛰어넘은 까닭일지도 모르겠다.

 

it’s better to burn out than to fade away
it’s better to burn out than it is to rust

 

라던 닐 영의 노랫말처럼 한때 마음을 흔들던 멋진 가사들이 나의 일이 아닌 것과 비슷한 무엇이다. 아니면 이상의 이야기처럼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경칠…… 화물 자동차에나 질컥 치여 죽어 버리지. 그랬으면 이렇게 후텁지근헌 생활을 면허기라두 허지.”
하고 주책없이 중얼거려 본다. 그러나 짜장 화물 자동차가 탁 앞으로 닥칠적이면 덴겁해서 피하는 재주가 세상의 어떤 사람보다도 능히 빠르다고는 못해도 비슷했다.(공포의 기록)

 

하지만 그렇게 자조하던 이도 ‘rust’로 ‘fade away’ 하지는 않았지만 하루 하루 땜질 하듯 사는 사람은 녹슬어 허물어지는 것을 보면서도 어찌 할 도리도 없다.

그럼에도 이때 쯤이면 도어즈의 노래 하나는 늘 내 마음을 다시 흐르곤 한다. 언제부터인가 그 노래는 앨범의 소프트한 분위기가 아닌 피아노 연주가 전면에 등장하는 그들 초기의 데모 버전+을 떠올린다. 그리고 내 마음을 매혹시키는 한 줄을 기다린다. “noon burned gold into our hair”이다.

이상하게도 그 한줄에서 나는 가진 적 없는 빛과 열정의 순간들과 그 벼랑끝에서 맞딱뜨릴 허무함 같은 것을 느끼곤 한다. 데이빗 린치가 또박또박 발음하며 들려주는 일기예보에서 golden sunshine이라는 단어가 아주 잠깐 내 마음을 밝히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일 것이다(but also hopefully those beautiful skies and golden sunshine, 2020. 8. 23). 그 무엇도 없는데 우습게도 허무한 느낌만은 비슷한 시늉을 하고 있으니 나의 썸머타임은 그렇게 실없이 떠나갔다. “noon burned gold into our hair”의 순간들을 꿈처럼 그리면서.

/srs.

 

 


/summer’s almost gone, doors

 

 

+오래도록 내가 좋아해온 이 버전은 1965년 9월 2일 로스엔젤레스에서 녹음되었다. 모두 6곡의 데모가 만들어졌으며, 레이 만자렉의 형제들이 기타와 하모니카를 연주했다.(로비 크리거는 참여하지 않았다.)

Epitaph

괜찮아
그냥 단어들일 뿐이야
물로 쓴……+

 

세상의 숱한 묘비명들 가운데 딱히 내 마음을 움직인 것은 없다. 킹 크림슨의 Epitaph처럼 Confusion이 내  Epitaph이 될 수도 없다. 존 키츠의 묘비명에 깊이 공감하였고, 묘비명은 아니었지만 “Ames Point”라는 이름이 붙은 표지석을 나는 기억한다. 눈물이 앞을 가렸던 2000년의 여름, 위스칸신의 위네바고 호수 제방 끝자락에서 인상적인 문구를 읽었으나 나는 제대로 기억할 수 없었다. 우여곡절 끝에 최근에서야 작은 동판에 새겨진 글 전부를 알게 되었고 거기 새겨진 궁금했던 한 줄은 아래와 같다. Read More

업이 무엇인지요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그게 만화책에서 봤던 마법사의 주문이 아니라 정구업진언이라는 것을 처음 알았을 적에는 그저 우스웠지요. 하지만 입으로 지은 업을 씻는 진언이라니 끝까지 웃을 일은 아니었지요. 생각해보면 수십년, 흐리멍텅한 업을 지니고 살아왔지요. 10대적부터 막연히 시를 쓰고자 했으나 내내 형편없는 것들만 그렸습니다. 아마도 수십곡, 20대 초반에는 노래도 지었지만 하나같이 어설픈 잡곡이었지요. 업이랍시고 편집일도 하고 조판일도 하고 인쇄일도 하고 더 하찮은 것들도 했지만 제대로 돈을 번 때는그리 많지 않았지요. 그러니 내게 있어 업이 무엇인지는 늘 답없는 이야기였지요. 아침, 점심, 저녁 빠짐없이 설거지를 하는 날도 많았습니다. 아이들을 돌보며 내 업은 무엇보다 가정주부라 생각도 했지요. 설거지를 하면서 죄와 속죄에 관한 시를 그리기도 했지요. 절반쯤 부모님을 모시고 살고 있으니 절반쯤 자식들 데리고 살고 있으니 절반쯤 자식으로 살고 있으니 그들 일 살피느라 시간 보낼 적에는 부모가 업이고 자식이 업 같기도 합니다. 오늘 사무실엔 그다지 일이 없습니다. 오신다던 손님이 찾아 오실지도 알 수 없네요. 그러니 업이라고 하기엔 참 모자라기 짝이 없지만 그래서 이게 바로 업인가 싶어집니다. 지은 업이 넘쳐나고, 풀지 못한 업은 끝이 없으니 진언 따위는 알지 못해도 수리수리수리수리 고치고 업데이트 해야 할 내 분명한 업인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