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두번째 종류의 고독

<침묵의 질주 Silent Running>, 더글러스 트럼불, 1971
오랫동안 한 척의 우주선도 오지 않았다.
이제 다 끝난 것일까?
ㅡ 두번째 종류의 고독, 죠지 R.R. 마틴

 

영화를 어디에서 봤는지가 가끔은 영화 자체보다도 더 선명하게 기억날 떄가 있다. <블레이드 러너>의 경우엔 승객이 거의 없는 고속버스 안에서 비디오로 보았고 <침묵의 질주>는 고등학교 1학년 쯤엔가 텔레비전에서 보았다. 하지만 나는 그 제목도 제대로 기억하지 못했다.
몇 년 전 우연히 텔레비전에서 그 영화를 방영했으나 내가 본 것이라곤 겨우 마지막의 폭발 장면뿐이었다. 금세 조안 바에즈의 테마가 흘렀고… 그럼에도 나는 직감적으로 그것이 오래전에 보았던 바로 그 영화라는 것을 알았고, 그래서 제목을 찾아낼 수 있었다.

오래되고 희미한 기억 속에 남아 있는 그 영화는 흑백 텔레비전의 이미지와 더불어 굉장히 적적하고 고독한 느낌뿐이었다. 그리고 우주선과 식물원을 관리하는 조그만 로봇들과의 카드놀이가 이상하게 기억이 났다.
최근에 다시 한번 보았지만 이번에는 자막도 없는 것이어서 그림만으로 모든 내용을 다 이해할 수는 없었다. 예전에 보았던 기억을 더듬어 스토리를 엮어보면…

토성 궤도 근처의 우주 식물원에서 지리한 업무를 이어가는 4명의 승무원들에게 스테이션을 폭파시키고 귀환하라는 명령이 내려졌으나 이곳을 몹시 아끼고 사랑했던 주인공은(이름도 모르겠다) 우여곡절 끝에 세 사람을 죽이고 홀로 남게 된다. 하지만 그다지 변한 것은 없다. 영화 초반부에서 동료들과 함께하던 트럼프 게임이 로봇들과의 게임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그러나 사실은 너무 많은 것이 돌이킬 수 없는 지경이 되었는지도 모를 일, 고적감을 감당하지 못해서였는지 죄책감 탓이었는지 그는 결국 식물원 일부를 떼어내어 우주 공간에 남겨두고 자폭을 선택한다.

 


우주선 Valley Forge의 현창에 비친 자폭 직전의 장면

 

영화는 오래도록 우주 스테이션에서 혼자 지내다 정신이상이 되어버린 어떤 사람의 이야기를 다룬 <두번째 종류의 고독>이라는 죠지 R.R. 마틴의 단편과 비슷한 느낌을 준다. 4년 여를 혼자 고립된 채 지내온 우주의 간이역 근무자가 자신과 교대하러 온 우주선을 ‘작위적인 사고’로 파괴시키고는 또 하염없이 교대자를 기다린다는 이야기다. 엉뚱하게도 나는 <두번째 종류의 고독>이 이 영화의 진짜 제목 같은 느낌이 든다.

감독은 스탠리 큐브릭의 <스페이스 오딧세이>에서 특수효과를 맡았던 사람이라고 하던데 시대에 따라 급속히 변화하는 테크날러지의 허망함이라고 해야 할지 요즘 방식의 현란한 볼거리는 전혀 없었다.
마치 50년대의 UFO 목격자들이 그린 우스꽝스런 비행접시마냥 우주선과 로봇들은 너무 촌스럽고 폭발 장면도 매우 밋밋하고 단순하다. 또 어떤 이는 이 영화가 너무 논리적이지 못하다고 했고 그런 이유들로 좀 엉성하게 망가진 영화라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침묵의 질주>에는 나로 하여금 심정적인 일치감을 느끼게 하는 무엇이 있다. 물기가 너무 많아도 그렇고 너무 메말라도 살기는 어렵다.
내가 보고 기억한 것은 과학적 논리적 맹점에 관한 것이 아니라 고독과 고립에 관한 이야기다. 마음속에 수많은 생각이 넘쳐났다 스러져도 할 수 있는 말은 별로 없다. 말하고 싶은데 말하지 못할 때 그 제목이 생각난다. 자폭하고 싶을 때 더 생각난다. White Pale Dot, 하염없는 공간에 떠 있는 어떤 고적한 방 하나를 잠시 그려본다.

…나는 어디에서 너를 보았을까.

 

 

2005. 4. 17.

델리아에게 전하는 인사

델리아 엘레나 산 마르꼬, 보르헤스

 

 

바람도 선선한 가을날입니다. 늘 다니던 길에서 새로운 가게 하나를 발견한 것처럼 늘 보던 화단에서 언제부터 있었는지도 모를 나무 하나를 유심히 바라보는 것처럼 그렇게 델리아를 보았습니다.
새로운 것이 아니어서 새로운 느낌, 오래도록 여기저기 뒤적여 왔으나 너무 짧은 글이어서 그냥 무심하게 넘어갔던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거리를 헤매이면서도 그녀를 보지 못했다면 그것은 얼마나 안타까운 일이었을지요.

내 기억 속에도 그런 장면이 있습니다. 어디쯤에서 헤어졌는지 또한 잘 알고 있습니다. 마치 나 자신이 모든 시간을 관통하는 듯 Flashback의 느낌을 갖곤 합니다. 그의 짧은 이야기 속에 나오는 11번가의 모퉁이는 아니더라도 누구에게나 그런 아스라한 순간이 남아 있겠지요.
하지만 그렇게 말하고 나면 잘 안다는 것은 무엇인지, 기억하고 있다는 것은 무엇인지 내 마음의 잔상은 흔들리며 흐릿해지곤 합니다. 죽음이 지닌 감당키 힘든 위력 가운데 하나 ㅡ 그가  말한 ‘거짓 기억’ 같은 것이지요. 그러나 상이 흔들리는 것일 뿐, 그것은 그 글자의 본래적 의미처럼 이미지가 아닌 것이어서 변치 않고 남아 있는  무엇이 있습니다. 아마 그가 붙들고자 하였던 델리아의 본질도 분명 그러하였을 것입니다.
그가 <울리카>에서 화자의 입을 빌어 말한 것처럼 인간에게 영원이란 허용되지 않는 것인지도  모르겠으나 그는 짧은 글을 통해 델리아 엘레나 산 마르꼬를 내 빈약한 가슴속에 깊이 깊이 각인시켰습니다.

지구 저 반대편에서 수십년 전에 존재했던 어떤 사람에 대해 알고 있다는 것, 그리고 그의 사연에 전도되어 11번가의 모퉁이를 바라보는 이 느낌을 어찌 다 말할 수 있을지요. 하나같이 너무 구차한 사족인 것만 같아 두 페이지에 불과한 델리아의 이야기를 내 마음의 카메라에 수없이 담고 또 담아봅니다.
Some sunny day… 어딘지 언제인지 알지 못하지만 다시 만나리라던 비러 린의 노래가 꼭 그러하였습니다. 한 사람의 꿈은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는 기억의 한 부분+ ㅡ 나도 더불어 비러 린에게, 스탠리 큐브릭에게, 보르헤스에게, 그리고 델리아에게 안부를 전합니다. 그는 “작별인사를 나누는 것은 이별을 부정하는 일”이라고 하였습니다. 인사가 없어도 분명 그랬을테지요.

 

델리아, 언젠가 우리는 다시 서로 이어지게 되리라.
어느 강가에서?
이 불확정적인 말,
우리는 한때 우리가 평원 속에 묻혀 있는 한 도시 속에서
정말로 보르헤스와 델리아였는지 자문해 보게 되리라.
ㅡ JLB.

 

 

+마르띤 삐에로.

 

 

/2003. 9. 26.

과거를 묻지 마셔요

이별초 작사/오작교 작곡/장탄식 노래
(슬로우)

 

흘러갔나요 이젠 잊어버린 건가요
묻지 말라는데 다시 생각 말자는데
저 하늘에 달뜨고 이 가슴이 달뜨면
궁금한 마음 되어 당신 불러 봅니다
아무도 찾는 이 없는 외로운 이 산장을 잊어셨나요
당신 생각에 부풀은 이 가슴도 묻어셨나요
잊어버리자는데 과거를 묻는다는데
노래하던 꽃마차 타고 산너머 남촌까지
만리포라 내사랑에서 밤깊은 마포종점까지
번지 없이 떠돌던 주막강산이었나요
무너진 사랑탑이던가요
그럼 당신 지금껏 갖고 계신 건 무엇인가요
그럼 당신 버리고 가신 건 또 무엇인가요
어느 산골 이름모를 계곡에 두고 왔나요
우리 지난 날 다 묻어신다 하면 그리 하셔요
그리 해 보셔요
함께 뱃놀이 갔던 호수 만큼이여요
둘이 지새운 깊고 깊은 그 밤 만큼이어요
가련다 떠나련다 유정천리 무정천리
제발 묻지 마셔요
적막강산 이 마음을 어이 하나요
청산유수 이 노래를 다 어찌 하나요
내 마음이 가는 그곳에 그리운 사람
미련없이 잊으려 해도 너무나도 그리운 사람
당신 마음 어떤지 눈에 선해요
묻지 마셔요
다시 볼 날 기약하여 우리 과거를 묻지 마셔요
문패도 번지수도 없는 이곳에
아주까리 초롱 밑에 홀로 앉아서
태양의 언덕 위에 꿈을 심노라니
파초의 푸른 꿈을 부디 묻지 마셔요

 

 

/2001.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