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해만에 <스타맨 Starman>을 다시 봤다. 1984년의 SF영화는 더욱 촌스러웠다. <브라질>(1985)이나 <블레이드 러너>(1982)와 비교하면 더 그런 느낌이다. 제프 브리지스를 꽤 좋아하지만 이 영화에서의 외계인 연기는 (인간으로의 적응 과정이라지만) 안드로이드 로봇처럼 행동하는 것이 좀 어색해 보였다. 차라리 표정 없는 ‘스타맨’ 데이빗 보위가 더 나았을지도 모르겠다. 많은 것들이 소박했던 시절에 대한 그리움인지 허술한 느낌이 드는 이 영화가 묘하게도 마음을 끈다. 제프 브리지스와 상대역인 캐런 앨런이 노래한 <All I have to do is dream> 또한 비슷하니 엉성함에도 나는 그 대목에서 살짝 눈물이 났다. 외로움의 품격이라고나 할까… 로이 오비슨 버전을 좋아하지만 영화 속의 노래엔 풋풋한 느낌과 함께 “말할 수 없는 그것“이 그대로 드러나 있었다. 제프 브리지스는 더 허술한 액션 영화 <R.I.P.D.>에서도 인상적인 목소리를 들려주었다. 영화의 발단이 되었던 보이저호는 2018년 태양계를 벗어났다. 머지 않아 기능이 정지된 채 가없는 우주를 항행하게 될 것이고 우리 모두 그럴 것이다.
/All I have to do is dream, Jeff Bridges & Karen Allen
When I want you in my arms When I want you and all your charms Whenever I want you, all I have to do is
Dream, dream, dream, dream
When I feel blue in the night And I need you to hold me tight Whenever I want you, all I have to do is Dream
I can make you mine, taste your lips of wine Anytime, night or day Only trouble is, gee whiz I’m dreamin’ my life away
I need you so that I could die I love you so and that is why Whenever I want you, all I have to do is Dream, dream, dream, dream Dream
I can make you mine, taste your lips of wine Anytime, night or day Only trouble is, gee whiz I’m dreamin’ my life away
I need you so that I could die I love you so and that is why Whenever I want you, all I have to do is Dream, dream, dream, dream Dream, dream, dream, dream Dream, dream, dream, dream Dream
17세기에 다정했던 사람 누구 떠올라?
하지만 그 시절 음악은 모두가 기억하지.
/콜름 도허티, <이니셰린의 밴시>
대척점에 서게 된 두 배우의 연기는 인상적이었고, 촌뜨기 파우릭 설리반을 연기한 콜린 파렐의 망가진 모습이 특히나 마음에 들었다. 마지막에 콜름 도허티(브렌던 글리슨)가 살아 있는 모습을 보인 것은 가슴을 쓸어내릴 만큼 다행스러웠지만 영화는 끝까지 편치 않았다. 마음이 아프다거나, 고통스럽다거나, 쓰라린 느낌이거나 그런 게 아니라 불편함을 피할 길이 없었다. 블랙 코메디라고 하기에 그들이 보여주는 극단적인 상황은 과하게 심각한 ‘피투성이’였다. Read More
저스틴 벤슨(+아론 무어헤드)의 세 편의 영화를 잇달아 봤다. 제일 먼저 본 것은 <타임루프 : 벗어날 수 없는>이란 제목으로 나온 <The Endless>였다. 정체불명의 존재가 만들어내는 미지의 현상들이 나름의 방식으로 독특했다. 진행은 느렸어도 마지막 부분은 짜릿했고, 결말은 조금 불분명했으나 그들은 어쩐지 ‘타임 루프’를 벗어나지 못했을 것 같았다.
두번째로 본 것은 레졸루션이었다. 신기한 것은 레졸루션이 <The Endless>의 전편이기도 하면서 타임 루프 존의 일부를 형성하는, 그러니까 <The Endless>의 한 부분으로 편입된다는 점이었다.(두 편의 영화 모두 스토리에서나 진행에서나 답답함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
제일 마지막에 본 <스프링>은 상대적으로 좋은 평을 받은 영화이다. 러브 스토리이기도 하고, 결혼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그 소재가 되는 것은 일정 부분 호러를 동반한 구조이다. 하지만 <황혼에서 새벽까지>에서 극적으로 변화되었던 현실과 비현실의 엉뚱하고도 극명한 전환과 달리 <스프링>에서의 괴기스런 현상은 제한적으로만 드러난다. 그들이 무엇을 택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었지만 어쨌든 그곳엔 사랑이 있었다.
<스프링>에는 내가 그렸던 어떤 세계가 있었다. 왜소하고 약해 보이지만 나름 강하고 분명했던 남자 주인공의 캐릭터는 마이클 스타이프나 톰 요크(이쪽에 더 근접하는 듯)의 느낌이 들었다. 디테일이 전혀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그가 사랑에 빠졌던 그녀가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하던 시대의 폼페이에서 태어나 그 시절을 살았다는 이야기는(특히나 빵집에도 들렀다는 것은) 새삼스레 내 가슴을 뛰게 했다. 왜냐하면 나 자신이 (시 속의 화자로서) 그 시대 폼페이에서 빵가게를 했었기에 그녀를 만났거나 알고 지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상상 속에서 거기서 살다 죽었고, 그녀는 영화 속 그 세계에서 태어나 오늘날까지 살아남았다. 또 그의 선택은 내가 실현한 적 없는 변심에 대한 내 느낌과 일치했다.
<Endless>를 나름 흥미롭게 본 까닭에 <레졸루션>과 <스프링>까지 보게 되었다. 영화로서의 완성도와는 상관없이 <스프링>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그녀의 실체를 알고도 사랑했고 삶의 어떤 때에 나는 그녀의 실체를 전혀 알지 못했기에 퍼펙트한 그녀가 버겁고 과분할 따름이었다. 천민에게 잘못 전달된 귀족의 옷인양. 결함으로 해서 그녀를 사랑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이제 와서 아무런 의미도 없는 생각일 뿐이지만 아무 것도 알지 못했던 나는 정말 바보였다. 또 자기 비하가 아닌, 부족하고 모자란 나를 일깨워달라고 말하지 못한 나는 참으로 어리석었다. 그런 면에서 스프링의 그는 어떤 이에 비할 수 없는 멋진 사람이었다.
죽을 죄를 지은 것도 아닌데 예기치 못한 크고 작은 시련의 연속, 처음 봤을 적의 답답한 느낌 때문인지 그 영화를 다시 보고픈 생각은 별로 없었다. 한데 언제부터인가 그 답답함이 무지무지 생각이 나서 머리 속을 맴돌았다. 나 자신 시리어스 맨의 상태가 되었는가 싶었다.
스탠리 엘린의 단편에 나오는 ‘애플비’처럼 ‘질서바른 세계’를 사랑하는 평범한 물리학 교수인 래리 고프닉에게 연이은 시련이 닥친다. 테뉴어 트랙 심사를 앞두고 음해의 투서가 날아오고, 한국인 학부모는 학점 매수를 시도하고, 백수인 동생 아써는 도박과 여타의 범죄들로 골치를 썩인다. 아들은 대마초 피우기에 여념이 없고 딸은 코 수술을 원하는데 무엇보다 결정적이었던 것은 아내가 그도 잘 아는 이와 살기 위해 이혼을 요구하며 고프닉을 모텔로 쫓아내는 대목에서였다. 레코드 회사에서는 돈을 독촉하는 연락이 쉴새없이 오고 왜 내게 이런 시련이 닥치는지 상담하고 싶은데 랍비를 만나기는 너무 어렵고, 그 와중에 안테나 고치러 옥상에 올라갔다가 나체로 일광욕을 즐기고 있는 이웃 여인을 발견하고서는……
그다지 나쁜 짓 한 것도 없는데 ‘주인공’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시련을 당하는 래리 고프닉의 피곤한 나날들, 그리고 이 모든 것이 어느 정도 해결의 실마리를 보일 때 갑작스레 토네이도가 불어닥치고 검진을 했던 의사로부터 급히 오라는 전갈을 받으면서 영화는 끝이 난다. 그 다음에 무슨 일이 있을지 짐작을 할 뿐, 하지만 알 수는 없다. 고양이는 죽었거나 또는 살아 가거나.
영화 속에는 세 사람의 랍비가 등장하는데 주차장의 비유(?)를 설파하던 젊은 랍비(상좌스님)와 어떤 치과 환자의 이 안쪽에 새겨진 글자들의 비밀에 관해 들려주던 랍비 나크너(주지스님), 그리고 랍비 마르샥(조실스님)의 제퍼슨 에어플레인 이야기는 사고의 깊이와 폭의 변화를 보여주는 듯 흥미로웠다.
그리고 생각은 단출한 주석을 좋아했다는 랍비 라쉬의 경구를 인용한 영화의 첫 화면으로 돌아간다. “당신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단순하게 받아들이라.”(Receive with simplicity everything that happens to you.) 너무도 지당한 말씀인데 그 단순함을 받아들이기에 영화를 보는 이는 그 어떤 해결의 능력도 없으면서 실없이 시리어스하기만 했다. ‘멘타쿨루스’라는 이름을 지닌 아써의 복잡한 노트처럼.
“믿었던 진실이 거짓으로 드러나고 네 안의 모든 희망이 사라지면 어떻게 할까?”
이루어진 적 없는 그의 욕망이 담긴 꿈에서, 그리고 래리 고프닉이 결국 만나보지 못한 랍비 마르샥이 성인식을 치룬 그의 아들에게 들려준 이야기에서 제퍼슨 에어플레인의 노래가 어떤 이의 허공을 삐라처럼 붉게 흩날렸다.
When the truth is found to be lies
And all the hope within you dies
Then what?
Grace Slick, Marty Balin, Paul Kantner Jorma(Kaukonen)
These are the members of Airplane!
/Rabbi Marsh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