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진상에게 ◉

장안에 한 젊은이 있어
나이 스물에 마음은 벌써 늙어 버렸네

 

이하의 시는 이렇게 시작했다. 젊어서도 젊은 적이 없었던 나는 그 두 줄에서 벌써 ‘진상’을 보았다. “진상에게”의 진상은 이하와 비슷한 연배의 품격있는 청년이었던 것 같지만 그 진상이 허접한 어떤 이와는 그다지 관련이 없다 보니 자꾸 엉뚱한 것만 더 눈에 들어온다. 진상은 허상이 되고 거기에서야 진상이 보인답시고 ‘겉보기에 허름하고 질이 나쁜 물건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서의 ‘進上’이나 실제의 모습을 뜻하는 ‘眞相’이 나를 찔러대는 것이다.

 

곤궁하고 못난 인생
해 질 녘이면 애오라지 술잔만 기울이네
지금 길이 이미 막혔는데
백발까지 기다려 본들 무엇하리
쓸쓸하구나, 진상이여!

 

이 구절에 와서는 이미 반백(!)을 넘어 흰머리 가득한 이로서 덧붙일 말도 없는 진상 그 자체다. 한치라도 괜찮은 부분이 있다면 그건 어떤 이의 것이 아니고  “노비 같은 기색과 태도로 다만 먼지 털고 비질만 할 뿐”, “옛 검(劍) 한번 크게 울어 볼” 일도 없다는 끝자락의 몇몇 대목은 나라는 進上에게 결단코 어울리는 것이었다. 오직 그의 탄식만이 내게 합당하여 그의 시처럼 녹여낼 길 없으니 낡아도 홀로 벼려진 검이 아닌 ‘le fusil rouillé(녹슨 총+)’에게는 울음도 없다. “녹슨 총보다 더 멋진 것은 없어요, 그리고 그건 이제 결코 소용없을 거예요”라던 앙리꼬 마시아스의 노래가 가을 바람처럼 이하의 마지막 말처럼 스산하게 들려올 뿐.

 

장안에 한 젊은이 있어
나이 스물에 마음은 벌써 늙어 버렸네
능가경은 책상머리에 쌓아 두고
초사도 손에서 놓지 못하네
곤궁하고 못난 인생
해 질 녘이면 애오라지 술잔만 기울이네
지금 길이 이미 막혔는데
백발까지 기다려 본들 무엇하리
쓸쓸하구나, 진상(陳述聖)이여!
베옷 입고 김매며 제사의 예를 익히고
오묘한 요순의 글을 배웠거늘
사람들은 낡은 문장이라 나무라네
사립문엔 수레바퀴 자국 얼어붙어 있고
해 기울면 느릅나무 그림자만 앙상한데
이 황혼에 그대가 날 찾아왔으니
곧은 절개 지키려다 젊음이 주름지겠네
오천 길 태화산처럼
땅을 가르고 우뚝 솟은 그대
주변에 겨눌 만한 것 하나 없이
단번에 치솟아 견우성과 북두칠성을 찌르거늘
벼슬아치들이 그대를 말하지 않는다 해도
어찌 내 입까지 막을 수 있으랴
나도 태화산 같은 그대를 본받아
책상다리 하고 앉아 한낮을 바라보네
서리 맞으면 잡목 되고 말지만
때를 만나면 봄버들 되는 것을,
예절은 내게서 멀어져만 가고
초췌하기가 비루먹은 개와 같네
눈보라 치는 재단을 지키면서
검은 끈에 관인(官印)을 차고 있다 하나
노비 같은 기색과 태도로
다만 먼지 털고 비질만 할 뿐이네
하늘의 눈은 언제 열려
옛 검(劍) 한번 크게 울어 볼 것인가

 

 

진상에게 드림 / 이하

 

 

/2017. 10. 19.

+열여섯일 적에 <검지의 꿈>이란 제목으로 ‘녹슨 총’에 관해 쓴 적이 있다. 녹슨 총을 붙들고 운다던 나는 역시나 노인이었던 듯.

九點煙구점연에 갇히어

누군가? 나의 서러운 한 권의 시집을
소중히 읽어 벌레 먹지 않게 할 이.
/이하

 

휴관을 앞둔 도서관에 책을 반납해야 할 마감일이다. 삼국유사를 편역한 두 책은 끝까지 다 읽지 못했음에도 그다지 미련도 아쉬움도 없지만 이하 시집을 돌려보내려니 좀 허전하였다.

그래서 눈에 들어오는대로 몇 페이지 카피를 하다 그것도 마땅찮아 찾아봤더니 구할 수 있는 책이라 바로 주문을 했다. 역자의 번역이 아주 시적이란 생각은 들지 않지만 완역본인 만큼 두고두고 보고 싶었기에 그랬다.

미리 써버린 내 ‘스완 송’의 소재가 되었던 “백옥루”+에 관한 이야기는 <태평광기>에 이하가 말한 것으로 나와 있고, 당나라 시인 이상은의 기록 <이장길 소전>에도 기술되어 있는데 그의 글에는 이하를 하늘나라(?)로 데려갈 저승사자가 했던 말로 나와 있다. 하지만 그 모두가 일종의 ‘전해오는 이야기’임에 본질은 이하의 말에 다를 바 없는 것 같다.

옛 현암사판의 번역으로 <夢天몽천>을 다시 한번 돌아본다. 이 땅을 한눈으로 내려다 볼 수단이 전혀 없던 시대에도 남다른 안목과 불허의 상상력은 그 모두를 뛰어넘었나 보다.  나는 이 하루도 ‘九點煙구점연’에 갇힌 채 까마득히 잊고 있으니 그가 夢天에서 봤던 것은 통찰이고, 나의 현실은 夢天인지도 모를 일이다.

 

달 속의 늙은 토끼와 한기 느낀 두꺼비가 우는 듯한 하늘 빛
구름누각 반쯤 열리자 벽 사이로 비스듬히 내비치는 새하얀 달빛
옥 바퀴 이슬에 구르자 물기를 머금은 듯 달빛은 몽롱해지고
계수나무 꽃향기 피어나는 길에서 선녀를 만난다.
삼신산 아래 인간 세상을 바라보니 누런 먼지와 맑은 물뿐
변화를 거듭하는 천년 세월도 달리는 말처럼 한순간이다.
아득히 바라보이는 중국 땅은 아홉 점 먼지
넓은 바다도 쏟아 낸 한잔의 물에 불과한 것을.

/꿈속에 하늘에 올라, 이원섭 역.

老兎寒蟾泣天色 (노토한섬읍천색)
雲樓半開壁斜白 (운루반개벽사백)
玉輪軋露濕團光 (옥륜알로습단광)
鸞佩相逢桂香陌 (난패상봉계향맥)
黃塵淸水三山下 (황진청수삼산하)
更變千年如走馬 (갱변천년여주마)
遙望齊州九點煙 (요망제주구점연)
一泓海水杯中瀉 (일홍해수배중사)

 

 

/2017. 6. 13.

+상제께서 (시인, 묵객들이 머물) 백옥루를 짓게 되어 상량문을 써라고 한다.

 

 

李賀의 마지막 말

목숨 壽 한 획 길고 짧음이 무슨 대수랴
奚囊해낭 속에 천년의 푸른 피 채웠음에
호기로움 도리어 심금 울리네
미처 쓰지 못한 사연들 뿔뿔이 흩어지고
玉樓옥루 높고 좁아 디딜 자리 없으니
먼발치로 그리는 것도 실없는 짓,
비루하게 살고 또 살아
허튼 주머니 털어버리는 것도
多幸이려니

 

 

+“상제께서 백옥루를 짓고 내게 記文을 쓰라 하신다.” 이하, A.D. 816.
(본래 몇가지 주석이 있었으나 전부 삭제하고 ‘한마디’만 남겼다.
옥루는 시인 묵객이 죽어서 가는 곳이라 보면 된다.)

 

 

/2013. 1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