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골짝 어귀에서

푸른 치마 아가씨 목화 따러 나왔다가
길손과 마주치자 길가로 돌아섰네
흰둥인 누렁이의 뒤를 따라 달리더니
주인아씨 앞으로 짝지어 돌아오네+

 

知音에게 알리기도 쉽지 않은 일 ㅡ 빠를 젠 빠르고 높고도 낮게, 나이 이제 열아홉인데 벌써 비파 잡고 다룰 줄 안다며+ 신광수의 넉 줄은 태연스레 그윽하였습니다. 원문을 읽으면 그 노골적인 글자들을 말로 옮기지도 못할 정도였지만요. 峽口所見이라는 짧은 만남에 관한 단상에도 그런 느낌 없지 않아 제목마저 조금 달리 보이는 것이 남의 일 같지 않았습니다. while my guitar gentley weeps ㅡ 비파 다루는 것 알지 못한 채 골짝 어귀에 서 있는 남자를 떠올려 봅니다. 주인아씨 앞에서 뛰놀던 백구 황구를 바라보던 개같지 않은 인생이 지사도 열사도 상열지사도 아닌 개같은 내 인생인지는 알 길이 없고, 撐天의 그렇고 그런 시절도 이젠 아닌 듯 싶지만요. 기세등등 어디로 갔는지 기타등등일 뿐이지만요, 등등.

 

+峽口所見, 정민 역.
+신광수의 시 배열을 뒤섞고 내용을 조금 바꿨음.

 

/2017. 5. 22.

꽤 오래된 시론

그저께 빌려왔던 책, 사흘 동안 안고 산 것은 아니지만 머리 속에선 내내 그랬다. 처음 펼쳤을 때는 모처럼 읽을거리 많은 책을 만난 것 같아 좀 들떴나 보다. 저자, 또는 편역자에 대한 느낌은 아주 조금 달라졌지만 배울 것이 많은 책이어서 그저 감지덕지일 따름이다.  그분의 지지자는 아닐지 몰라도 다른 책들도 빠짐없이 읽고 싶어질만큼. 서두에 있던 박지원의 인용부터가 인상적이었다. 해설까지 마음에 쏙 든 것은 아니어서 나는 좀 더 단순하게 생각한다. 그리고 그 생각은 오직 나만의 것은 결코 아니다. 누구나 부지불식간에 책을 읽고 시를 읽고 심지어 쓰기까지 한다는 것, 그 자신이 알지 못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리라 나는 생각한다 ㅡ 그것을 문자로 한정하지만 않는다면. 그런 의미에서 연암의 글을 시인의 자세에 관한 것이라고 말할 필요는 없다. 나는 다만 그 짧은 글이 시라고 생각하고 읽었을 뿐이다. 내재율조차도 찾을 길 없다 한들 굳이 산문시라고 말할 필요도 없다. 그 어떤 ‘律’도 그 어떤 ‘룰’도 알지 못하지만 나는 그가 쓴 시를 읽었다.

라면 몇 개 안아들고

여섯 시가 되자마자 도서관으로 향했다
라면 몇 개라도 챙겨야 했던
전운 감도는 시대의 소시민인양
도서관이 휴관한다는 문자에 우습게도 애가 닳았나 보다
꽤 두꺼운 시집 세 권에 다른 책 두 권을 보태어 대출 권수를 채웠다
생각지도 못한 분의 생각지도 못한 글이 나름 반가웠다
그리고 페이지마다 오래된 새로움이 가득하였다
경운기는 어떻게 움직이는가“를 쓰던 시절처럼
숨을 곳 없는 난민의
조금 서글퍼지만 피할 길 없는,
불어터졌지만 오랜 허기 면하는 작은 즐거움 같은 것

/2017. 5. 16.

등화관제가
실시됐던
지나간
여름

사이렌 소리에 불이 꺼지자 망 쳐진 내 창으로 수천의 눈동자가 나를 노려보고 있었다.

/은하수, 정민

+
한시 두시 읊어가며 옮기는 분이라
할아버지인줄 알았는데 그렇지는 않았다.
이 분의 번역이 좋아서 책 빌려왔는데
대학 시절부터 남달랐나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