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그 집 앞 : Ask me why

재개발 플래카드로 어수선한 아파트 위쪽 입구 오른편에는 작은 편의점이 있고, 한 칸 건너 아담한 가정집이 하나 있다. 예전에는 이 동네 전체가 한적한 주택가였으나 이제는 주변에 원룸 빌딩이 너무 많이 들어서서 좀 삭막한 분위기다. 그래서 몇해 전 그 집을 새로 단장하는 것을 보면서 나는 좀 위태로운 느낌이 없지 않았다. 너무 당연한 것이 너무 낯설어져버린 아이러니를 보여주는 작고 아담한 집이었던 까닭이다. 집 앞에는 자갈이 깔린 공터가 있어 차 2대 가량을 주차 가능하게끔 해두었고 그 너머에는 철골로 이루어진 하얀 담장과 아치형 대문이 있다. 집 입구에도 큼지막한 화분들이 있고 하얀 담장을 따라 넝쿨이 자라는 집이다. 나이 지긋한 사람들이 가끔 그 집 앞에 멈추어 천리향 향기 맡으며 화분 바라보는 것을 몇 번 보기도 했었나 보다.

열 여섯 살 무렵이었던 것 같다. 나는 비틀즈에 푹 빠져 살았어도 그들 노래 전부를 알지는 못했다. 정규 앨범/싱글의 대부분을 알고 있었지만 금지곡들을 위시해 빠진 곡도 꽤 있었다. 특히나 데뷔 앨범의 곡들은 모르는 게 더 많았던 것 같다. 그럼에도 특이하게 좀 일찍 들은 것이 있다면 1962년 함부르크 스타 클럽에서의 라이브 앨범이었다. 초기 락앤롤의 스탠다드 넘버들과 비틀즈 오리지널이 섞인 희귀한 앨범이었지만 정식 레코딩이 아니라 비틀즈가 유명해지자 누군가의 조악한 녹음본으로 제작된 앨범이어서 음질은 형편없는 수준이었다. 그렇지만 나는 카세트 테잎 2개로 만들어진 그 앨범을 참 열심히도 들었던 것 같다. 친구에게서 빌려 테잎으로 녹음해 듣던 <1962-1966>, <1967-1970> 컴필레이션 앨범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내가 좋아하던 노래들, Strawberry Fields Forever나 Sgt. Pepper에 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Alles zur Geschichte der Beatles in Hamburg. - hamburg.de
/Star Club, 1962

 

그런 열여섯의 어느 날, 아파트 옆길을 지나가는데 누군가 노래하는 소리가 들렸다. 꽤 괜찮은 목소리였고 낭만적으로 들렸다. 잘은 모르지만 나보다 살짝 나이가 많은 사람 같았다. 귀에 익은 그 노래가 무엇인지 가물가물 했는데 가만 생각해보니 비틀즈의 Ask Me Why였다. 당시 내겐 그 노래가 수록된 앨범이 없었지만 바로 함부르크 테이프를 통해 잘 알고 있었던 곡이었다. 美感이나 멋에 관한 감각이 부족한 나는 그 노래가 그렇게 낭만적인 곡인지 몰랐다가 그날에서야 희미하게 알게 되었다. 노래 속의 주인공이 흘리는 눈물 같은 것은 더 이상 없는데도 말이다. 그리고 이제 와서 생각해보니 작고 아담한 집이 있는 바로 그 곳이 아니었나 싶다. 나는 이 곳에 사는 사람들을 본 적이 없지만 저녁이면 자그마한 차 두 대가 다소곳이 서 있는 그 집의 주인장이 예전 그 노래를 불렀던 바로 그 사람이 아닐까 바라고 믿곤 한다, 오가며 그 집 앞을 지나노라면……

 

 


/Ask Me Why, Beatles
(데뷔 앨범 모노 버전을 좋아하는 나는 심플하고 극단적인 스테레오가 불편하게 들린다.)

쥴리아, just to reach you

그녀가 붕대 감은  팔로 넘어지는 것을 보는 순간
마치 자기 몸이 당하는 고통처럼 느껴졌었다./1984년

 

스무살 즈음에 쥴리아 하면 떠오르는 몇몇 이미지들이 있었다.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것은 <1984년>에서 ‘청년반성동맹’의 상징인 진홍색 허리띠를 두른 채 텔레스크린 앞에서 윈스턴 스미스에 어떤 쪽지를 전해준 젊은 여자의 이름이다. 거기 적힌 짧은 문장을 본 순간은 그의 운명을 바꾸었고 그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어놓은 것이었지만 내 삶에 있어서도 틀림없이 그랬다. 마치 내가 그 쪽지를 받기나 했던 것처럼.

 

거기에는 멋없이 커다란 글씨로 이렇게 써 있었다.
“당신을 사랑합니다.”/1984년 Read More

3504

지난 새벽 잠이 깨었다. 창녕이었다.  불투명한 창문은 열어둔 탓에 바깥이 잘 보였고, 온갖 자질구레한 것들은 적당한 어둠 속에 감춰진 채 적막 속의 풍경은 아름다웠다. 잠시 마당을 바라보던 내 마음에 문득 노래가 흐르기 시작했다. 오래 전에 꽤 좋아했던 노래, look at me였다.

한밤중에 듣는 그 노래는 사랑노래라기보다는 묘한 허무감을 내게 남기곤 했다. 고등학교 시절 나는 그 노래가 수록된 앨범 자켓을 좋아해서 책상 위에 액자 마냥 얹어두곤 했었다.  또 한참의 시간이 지난 뒤 내 ‘삐삐’에도 그 노래가 흘렀다. 허리에 찬 삐삐에선 가끔 불이켜지고 진동이 울렸다. 누군가가 나를 부르는 것이다.

가끔은 ‘3504’ 같은 메시지도 있었다. 그것은 조금 더 길어져 35가 몇번씩 이어지기도 했고 04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3535353504040404. 문자를 사용할 수 없는 기기이다보니 숫자로 대신하는 것이었다. 그것을 언어와 곡조로 번역하자면 “love you forever and forever love you with all my heart”쯤 되었을 것이다. 그러면 허리에서 감지된 진동이 마음을 두드리곤 했다. 아무런 답도 할 수 없었지만 그 신호 자체가 어떤 연결인양 여기곤 했다. 그리고 잠깐 울렸던 메시지는 원주율처럼 끝없이 이어지며 나를 호출할 것이라 생각했다. 내가 속했던  세상이 끝나지 않을 것이라 여기던 시절이었다.

우리, 또는 우리들은 제각각 다른 세상으로 발을 디뎠고 그곳에는 삐삐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았다. 나를 호출하던 신호 또한 일방의 무한한 공간 너머로 어떤 해석도 불가능한 파편으로 흩어져버렸다. 노래는 여전히 내 마음 속에 있지만 듣지 않은지는 몇년이나 되었는지 가물가물하다.

그러다 지난 새벽 잠이 깨었다. 온갖 잡다한 것들이 어둠 속에 곱게 감춰진 마당에 홀로 서 있는 소나무의 꿈이었다.

a restless wind inside a '

달리 들을 길이라곤 없었던 것 같은데 처음부터 이 노래는 이상하게 귀에 익은 느낌이었다. 라디오가 거의 유일한 채널이었던 시대였지만 그래서 귀에 익은 것이 아니라 기시감, 아니 ‘기청감(déjà entendu)’을 불러일으켰고 묘하게도 그것은 돌아갈 길 없는 시간 또는 장소에 대한 향수를 느끼게 했다.
오케스트레이션이 들어간 <let it be> 버전도 좋았지만 ‘세계 야생동물 기금’에의 기부를 위해 만들어진 앨범에 수록된 버전을 더 자주 듣곤 했었다. 새 소리와 더불어 스피커 채널을 옮겨가며 들리는 파도 소리인지 날개짓인지 조금 조악하게 들리는 효과음이 나는 오히려 좋았다. 이펙트가 들어간 일렉트릭 기타와 시타, 탐부라…… 오래도록 마음에 남아 있는 노래 가운데 하나이고 가사는 한편의 환상적인 시(endless rain into a paper cup!) 같았다.
 
 

/beatles ballads
 
 
‘야생동물 기금’ 버전은 beatles ballads라는 제목의 컴필레이션 앨범(lp로 갖고 있는 이 앨범 재킷을 생각하니 아련한 느낌이 들어 한번 찾아봤다)에도 수록되어 있었고 <past masters>에도 들어 있다. 어릴 때도 그리 추측했었지만 예상대로 ‘기금 버전’은 원래의 녹음을 속도를 올려 조를 바꾼 것이었다. 그리고 이 노래의 제목은 여전히 미완인 채 손을 놓고 있는 내 어떤 이야기의 제목에도 변용되어 포함되어 있다.
몹시도 캄캄했던 지난 밤, “nothing’s gonna change my world”가 희망일지 신념일지 고통일지 탄식일지 알지 못한 채 이 노래 듣던 시절이 저리도록 그리워졌다. 받을 길도 전할 길도 없는 숱한 사연을 싣고 우주의 저 끝으로부터 이 노래가 다시 내게로 왔다.
 
 

 
 

/no one’s gonna change our world
(world wildlife fund를 위해 across the universe가 처음으로 발표되었던 앨범이다.)
 
 

a restless wind inside a

달리 들을 길이라곤 없었던 것 같은데 처음부터 이 노래는 이상하게 귀에 익은 느낌이었다. 라디오가 거의 유일한 채널이었던 시대였지만 그래서 귀에 익은 것이 아니라 기시감, 아니 ‘기청감(déjà entendu)’을 불러일으켰고 묘하게도 그것은 돌아갈 길 없는 시간 또는 장소에 대한 향수를 느끼게 했다.

오케스트레이션이 들어간 <let it be> 버전도 좋았지만 ‘세계 야생동물 기금’에의 기부를 위해 만들어진 앨범에 수록된 버전을 더 자주 듣곤 했었다. 새 소리와 더불어 스피커 채널을 옮겨가며 들리는 파도 소리인지 날개짓인지(아마도 새들의 날개짓인듯) 조금 조악하게 들리는 효과음이 나는 오히려 좋았다. 이펙트가 들어간 일렉트릭 기타와 시타, 탐부라…… 오래도록 마음에 남아 있는 노래 가운데 하나이고 가사는 한편의 환상적인 시(endless rain into a paper cup!) 같았다.

 

 


/beatles ballads

 

‘야생동물 기금’ 버전은 beatles ballads라는 제목의 컴필레이션 앨범(lp로 갖고 있는 이 앨범 재킷을 생각하니 아련한 느낌이 들어 한번 찾아봤다)에도 수록되어 있었고 <past masters>에도 들어 있다. 어릴 때도 그리 추측했었지만 예상대로 ‘기금 버전’은 원래의 녹음을 속도를 올려 조를 바꾼 것이었다. 그리고 이 노래의 제목은 여전히 미완인 채 손을 놓고 있는 내 어떤 이야기의 제목에도 변용되어 포함되어 있다.

몹시도 캄캄했던 지난 밤, “nothing’s gonna change my world”가 희망일지 신념일지 고통일지 탄식일지 알지 못한 채 이 노래 듣던 시절이 저리도록 그리워졌다. 받을 길도 전할 길도 없는 숱한 사연을 싣고 우주의 저 끝으로부터 이 노래가 다시 내게로 왔다.

 

 

 

 


/no one’s gonna change our world
(world wildlife fund를 위해 across the universe가 처음으로 발표되었던 앨범이다.)

 

 

the analogues’ sgt. pepper

<아날로그>는 세상에 널린 비틀즈 연주 밴드 가운데 하나다.
네덜란드 출신 다섯명의 뮤지션이 만들어내는 연주는
단순한 흉내내기를 넘어 나름 진지하다.
이들은 특히 비틀즈 후기의 스튜디오 앨범들을 라이브로 들려주고 있는데
가능한 한 완벽한 재현을 위해 멜로트론을 비롯한 옛 시절의 악기들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것이 라이브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원곡에 꽤 충실하다.
이들은 sgt.pepper 50주년(1967)을 기념하여 이 앨범 전체를 라이브로 공연했고
이제는 white album을 진행하고 있다.
a day in the life를 들은지는 정말 오래 되었고 안들은지도 무척 오래되었다.
론리 하트인지 브로큰 하트인지 이 노래의 어떤 서글픔이 요즘 내 어떤 느낌인양
창가 바라보며 옛사랑 같은 노랠 다시 듣고 또 들었다.
across the universe, 거의 1분에 가까워 참아내기 어려웠던 여운은……

 

 


a day in the life / analogues

the analogues’ sgt. pepper

<아날로그>는 세상에 널린 비틀즈 연주 밴드 가운데 하나다.
네덜란드 출신 다섯명의 뮤지션이 만들어내는 연주는
단순한 흉내내기를 넘어 나름 진지하다.
이들은 특히 비틀즈 후기의 스튜디오 앨범들을 라이브로 들려주고 있는데
가능한 한 완벽한 재현을 위해 멜로트론을 비롯한 옛 시절의 악기들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것이 라이브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원곡에 꽤 충실하다.
이들은 sgt.pepper 50주년(1967)을 기념하여 이 앨범 전체를 라이브로 공연했고
이제는 white album을 진행하고 있다.
a day in the life를 들은지는 정말 오래 되었고 안들은지도 무척 오래되었다.
론리 하트인지 브로큰 하트인지 이 노래의 어떤 서글픔이 요즘 내 어떤 느낌인양
창가 바라보며 옛사랑 같은 노랠 다시 듣고 또 들었다.
across the universe, 거의 1분에 가까워 참아내기 어려웠던 여운은……

 

 


a day in the life / analog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