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길모롱이 +

공항에서 돌아오는 차 안에서였다. 길은 그다지 막히지도 않았고 운전을 좋아하지 않는 내게도 부담이 되지 않았다. 언제나 그랬듯 오랜만의 만남이어서 나는 전부터 나름의 준비를 했었고 그 가운데 하나는 차 안에서 들을 음악에 관한 것이었다. 터널로 진입하기 전에 있는 번잡한 교차로에서 정지신호에 나는 조심스레 차를 멈추었다. 어쩌다 겪게 되는 잠깐의 정적 속에 귀에 익은 감상적인 플라멩코 스타일의 기타 인트로가 흘러나오기 시작했고 곧이어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의 멋진 목소리로 포르투갈어 낭송이 시작되었다.  또낑요가 브라질의 시인이자 가수인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를 만나 한껏 고양되어 있던 초기 시절의 작품이자 그들의 가장 멋진 대표작 가운데 하나라 할 노래였다. 나는 그 내용의 절반도 이해할 수 없었지만 그건 그다지 중요한 문제가 아니었다. 그의 목소리에서 느껴지는 감정으로 충분했고 그녀가 내 곁에 앉아 한 공간을 호흡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나는 잠시 핸들에서 손을 떼고 그녀의 손을 잡은 채 눈을 맞추며 시간의 흐름을 잊고 있었다. 마침내 신호가 바뀌었고 나는 살짝 그녀에게서 손을 빼서 운전대를 잡아야 했다. 노래는 계속 이어졌고 우리는 이러저런 대화를 나누다 도착하였다. 그녀는 내가 손을 뺀 것을 조금 원망스러워 했다. 나로선 곡선의 도로를 한 손으로 불안하게 주행하기보다는 그녀와의 길이 안전하길 바라는 마음이 더 컸었고, 그 짧은 시간에 비할 수 없는 세월을 그녀와 나누는 것을 꿈꾸었던 까닭이다. 하지만 그것을 현실로 만들지 못했던 그 짧은 시간… 정지 신호가 다시 주행 신호로 바뀌는 것보다 더 짧은 시간에 많은 것을 이룬 사람도 있다. 보르헤스의 <비밀의 기적>에서 홀라딕이 신께 간구하여 찰나를 연장하고 또 연장해가며 자신의 희곡을 집필하기 시작해서 완성했던 것이 바로 그것이다.  총탄이 격발되는 순간부터 그의 몸을 관통하기까지의 짧은 시간에 말이다. 그 총탄은 우리들 모두가 예상하거나 상상하지도 못했던 시간을 뛰어넘어 그녀의 가슴을 관통하였고, 다시 오랜 세월을 돌아 누군가의 가슴에 박힌 채 남아 있다.  홀라딕처럼 극적이고 충족된 결말을 이룬 것은 아니었지만,  내게 그런 순간이 있다면 바로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의 목소리가 느릿하니 흘러나오던 그때였을 것이다. 그것을 ‘소유’라고 하는 것은 그다지 적절하지 않고 그 어떤 영속성을 상상할 수 없음에도 나는 그렇다. 삶에는 너무 많은 위험이 있고 그 위험은 ‘그녀’라고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는 노래했는데 그 어떤 위태로움이 거기 있었는지 가끔 생각해본다. 이제 나는 거의 매일 그 교차로에 멈추곤 하지만 다른 쓰라림들이 대신 자리를 차지하고 있을 뿐, 위태로움 또한 내 곁에 없다.

 

 

/2017. 10. 17.

 

 

+
이 글의 제목을 ‘길모롱이’라 붙인 이유는 그 도로가 휘어진 오르막길인 까닭도 있지만 어릴 때 <빨강머리 앤>에서 본 그 단어를 오래도록 좋아했기 때문이다. 앙숙이었던 길버트와 앤이 졸업하는 즈음엔가 둘이 가까워지면서 끝을 맺는 장면에 붙은 작은 제목이 바로 ‘길모롱이’였다. 어렸던 나는 그들의 뒷 이야기를 알지 못했지만 어떤 느낌은 있었다.(앤의 이야기는 계속 이어졌으나 어린이용으로 만들어진 책이어선지 그게 마지막 장면이었다.) ‘모롱이’의 사전적 의미는 ‘산모퉁이의 휘어둘린 곳’을 뜻하고 모퉁이보다 범위가 좁다고 한다. 그리고 오늘 처음으로 알게 된 것, ‘길모롱이’란 단어는 내 마음과 달리 사전에 따로 없었다.

포도아에서 파서를 그리워 함.

화이트 앨범이 세상에 나온지 얼마 되지 않았던 1968년의 어느 겨울 날 ㅡ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는 이탈리아로 가는 길에 잠시 포르투갈에 들러 리스보아에 있는 아말리아 호드리게스의 집을 방문했다. 그곳에서 카를로스 아리 도스 산토스, 나탈리아 코레이아 등의 시인들과 만나 시편들을 낭송하고 노래를 불렀다. 그 가운데는 그 무렵 작곡한 것으로 추정되는 노래도 있었는데 saudades do brasil em portugal이 그것이다.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가 쓴 이 곡은 자신이 직접 불렀고, 아말리아 호드리게스도 노래했다. 이때의 녹음이 썩 훌륭한 것은 아니었지만 오늘날에도 이 노래는 포르투갈의 파두 가수들에 의해 널리 불리어지고 있고 그것은 파서에서도 마찬가지다. 자칫 묻혀버렸을 수도 있는 이 곡이 대륙을 넘나들며 이렇게 오래도록 불리어지는 것은 파두를 노래하게 하는 포르투갈/브라질의 독특한 정서 ‘saudade'(우리에게는 ‘그리움’이 있다)가 곡조 속에 깊게 배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카치아 게레이루의 노래와 연주도 멋지지만 나는 그녀의 노래를 들으며 15년전 쯤 처음 들었던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의 조금 허술하지만 쓸쓸하고 품위있는 목소리를 그린다. 한때 그들을 지배했던 포도아를 방문한 파서의 시인이 어떤 느낌을 갖고 있었는지 어찌 알겠냐만 영국을 방문한 미국 시인의 느낌과는 여러모로 차이가 있으리라 싶다. 그리고 이 곡에 대한 나의 느낌은 파서도 포도아도 아닌 객지에서 또 다른 객지를 그리는 이의 심정 같은 것이다. 도착하지 못한 브라질의 꿈이었고 잠시 머물렀던 포르투갈이었음에 속한 곳 없는 내 삶에 관한 것이기도 하고, 돌아갈 수 없음에 관한 것이도 하고.

 
 

saudade라 했던가
쏟아지는 그리움이라 했던가
잊혀진 땅
있지도 않은 세상
만나기 어려운 서로간의 이역인데
무엇 하나 이어진 것 없이
홀로 또 다른 역 그렸네

 
 

/kátia guerreiro

 

+
1968년 12월 19일이었다.